강남권 "헌재 만세! 앞으로 집값 오를 것"
중개업소에 "진짜 종부세 안내는 거냐" 전화 쇄도
서울 강남구 도곡동에 공시가격 12억원 짜리를 보유하고 있는 직장인 유모(40)씨는 이번에 1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 부과가 헌법 불합치 결정이 내려지자 쾌재를 부르고 있다.
홑벌이인 우씨가 지난해 부담한 종부세만 약 500여만원. 재산세까지 합치면 1천만원에 달한다. 우씨는 "빠듯한 월급에 종부세와 재산세를 내기 위해 마이너스 통장까지 만들어야 했다"며 "앞으로 빚을 내서 보유세를 내는 일은 없을 것 같다"고 기뻐했다.
강남권 주택 보유자들이 '세금 폭탄'으로 불리던 종부세에 일부 위헌 결정이 내려지자 크게 환영하고 있다.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공시가격 9억원(시세의 80%로 추정) 초과 주택은 서울의 경우 총 9만300가구로 이 가운데 강남(3만5천668가구), 서초(1만9천650가구), 송파구(1만3천630가구) 등 강남 3개구가 6만8천948가구로 서울시 전체의 76%를 차지한다.
서울 반포동에 사는 박모(65)씨는 "15년 전에 구입한 주택이 올라 종부세 대상이 됐는데 은퇴후 일정 수입이 없다보니 세금 부담이 여의치 않았다"며 "투기목적이 없는 실수요자까지 과도한 종부세를 부과하는 것은 부당했다"고 말했다.
고가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강남권 중개업소에도 "진짜 이제 종부세를 안내는 것이냐"는 문의 전화가 줄을 잇고 있다.
강남구 압구정동의 한 중개업소 사장은 "이 곳 거주자들은 어느 정도 여유자금이 있는 사람들이지만 종부세 부담이 컸던 것은 사실"이라며 "향후 집값 상승에도 호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개포동 주공 아파트 단지는 재건축 아파트 특성상 1주택 보유자는 많지 않지만 세대별 합산과세가 위헌 결정을 받음에 따라 부부간의 증여 등 절세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될 전망이다.
인근 중개업소 대표는 "종부세가 완전히 없어진 것은 아니지만 그동안 종부세를 내기 위해 돈을 빌리거나 다른 주택을 처분하는 경우도 있었다"며 "종부세 회피 목적으로 집 한 채는 부인에게 증여하려는 집주인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당장 매물 회수나 호가 상승 등의 조짐은 보이지 않고 있다. 건설사의 연쇄 부도, 구조조정, 실물경기 침체 등 악재가 내년까지는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송파구 잠실의 한 중개업소 사장은 "경제 전반에 걸친 위기감이 커지고 있어 주택 매수심리가 살아날 정도는 아닌 것 같다"며 "주택 보유자들도 세금이 줄었다고 기뻐하지만 가격을 올리지는 않고 있다"고 전했다.
대치동의 한 중개업소 사장도 "이번 헌재 결정에 앞서 정부가 이미 종부세를 크게 낮추기로 한 만큼 어느 정도 호재는 시장에 반영돼 있다고 봐야 한다"며 "당장 변화는 없으며, 경제가 좀 나아지면 고가주택에 대한 인기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홑벌이인 우씨가 지난해 부담한 종부세만 약 500여만원. 재산세까지 합치면 1천만원에 달한다. 우씨는 "빠듯한 월급에 종부세와 재산세를 내기 위해 마이너스 통장까지 만들어야 했다"며 "앞으로 빚을 내서 보유세를 내는 일은 없을 것 같다"고 기뻐했다.
강남권 주택 보유자들이 '세금 폭탄'으로 불리던 종부세에 일부 위헌 결정이 내려지자 크게 환영하고 있다.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공시가격 9억원(시세의 80%로 추정) 초과 주택은 서울의 경우 총 9만300가구로 이 가운데 강남(3만5천668가구), 서초(1만9천650가구), 송파구(1만3천630가구) 등 강남 3개구가 6만8천948가구로 서울시 전체의 76%를 차지한다.
서울 반포동에 사는 박모(65)씨는 "15년 전에 구입한 주택이 올라 종부세 대상이 됐는데 은퇴후 일정 수입이 없다보니 세금 부담이 여의치 않았다"며 "투기목적이 없는 실수요자까지 과도한 종부세를 부과하는 것은 부당했다"고 말했다.
고가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강남권 중개업소에도 "진짜 이제 종부세를 안내는 것이냐"는 문의 전화가 줄을 잇고 있다.
강남구 압구정동의 한 중개업소 사장은 "이 곳 거주자들은 어느 정도 여유자금이 있는 사람들이지만 종부세 부담이 컸던 것은 사실"이라며 "향후 집값 상승에도 호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개포동 주공 아파트 단지는 재건축 아파트 특성상 1주택 보유자는 많지 않지만 세대별 합산과세가 위헌 결정을 받음에 따라 부부간의 증여 등 절세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될 전망이다.
인근 중개업소 대표는 "종부세가 완전히 없어진 것은 아니지만 그동안 종부세를 내기 위해 돈을 빌리거나 다른 주택을 처분하는 경우도 있었다"며 "종부세 회피 목적으로 집 한 채는 부인에게 증여하려는 집주인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당장 매물 회수나 호가 상승 등의 조짐은 보이지 않고 있다. 건설사의 연쇄 부도, 구조조정, 실물경기 침체 등 악재가 내년까지는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 때문이다.
송파구 잠실의 한 중개업소 사장은 "경제 전반에 걸친 위기감이 커지고 있어 주택 매수심리가 살아날 정도는 아닌 것 같다"며 "주택 보유자들도 세금이 줄었다고 기뻐하지만 가격을 올리지는 않고 있다"고 전했다.
대치동의 한 중개업소 사장도 "이번 헌재 결정에 앞서 정부가 이미 종부세를 크게 낮추기로 한 만큼 어느 정도 호재는 시장에 반영돼 있다고 봐야 한다"며 "당장 변화는 없으며, 경제가 좀 나아지면 고가주택에 대한 인기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