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수출 -10.3%, 일 평균은 +7.7%. 2월부터 험난
이른 설 영향. 2월부터는 '트럼프 리스크'에 '딥시크 쇼크' 가세
작년보다 일렀던 설 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로 1월 수출이 10% 감소하며 15개월 연속 이어졌던 '수출 플러스' 행진이 멈췄으나, 조업일수로는 플러스 행진을 이어가 탄핵 사태에도 아직 수출전선은 선방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2월부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의 보복 관세가 본격 가동되고, '딥시크 쇼크'가 반도체업계를 강타해 수출 전선에도 적신호가 켜진 양상이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1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1월 수출액은 491억2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10.3% 감소했다.
이로써 2023년 10월부터 작년 12월까지 15개월 연속 플러스 기록을 이어온 수출 플러스 행진은 멈췄다.
그러나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4억6천만달러로, 작년보다 7.7% 증가했다.
15대 주력 수출품 동향을 보면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와 컴퓨터 등 2개 품목을 제외한 13개 품목의 수출이 작년보다 감소했다. 일평균 수출 기준으로는 10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1월 반도체 수출은 101억달러로 작년보다 8.1% 증가하며 역대 1월 중 2022년(108억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실적을 기록했다. 반도체 수출은 9개월 연속 100억달러 이상을 기록하며 15개월 연속 전년 대비 수출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그러나 수출 2위 품목인 자동차 수출은 50억달러로 19.6% 감소했다. 현대차 등 완성차 업체와 부품 업체들이 설 연휴에 이어진 금요일을 추가 휴무일로 지정하면서 다른 업종보다 조업 일수 감소 영향이 컸다.
글로벌 전기차 캐즘 장기화로 전기차 수출은 50.3% 감소하고 내연기관차 수출도 20.8% 줄었으나 하이브리드차 수출은 37.1%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자동차 부품 수출도 15억7천만달러로 17.2% 감소했다.
석유제품 수출은 중국의 덤핑 수출에 따름 국제가격 하락과 국내 공장 폐쇄 및 조업 중단 등의 영향으로 29.8% 감소한 34억달러에 그쳤다.
이 밖에 디스플레이(-16.0%), 무선통신기기(-9.4%), 일반기계(-21.7%), 선박(-2.1%), 석유화학(-12.8%), 바이오헬스(-0.4%), 가전(-17.2%), 섬유(-15.5%), 철강(-4.9%), 이차전지(-11.6%) 등의 수출도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주요 시장인 미국과 중국으로의 수출이 모두 감소했다.
대중국 수출은 중국의 설인 춘제 연휴(1월28일∼2월4일) 등 영향으로 14.1% 감소한 92억달러로 집계됐다. 그러나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 기준 대중국 수출은 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미 수출도 9.4% 줄어든 93억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일평균 기준 수출은 8.7% 증가했다.
한국의 1월 수입액은 510억달러로 작년 동월 대비 6.4% 감소하며 1월 무역수지는 18억9천만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지난 2023년 6월 이후 19개월 연속 이어져온 흑자 행진이 중단된 것.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1월에는 장기 설 연휴로 조업일수가 크게 감소하면서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했지만 일평균 수출은 7.7% 증가하는 등 수출 동력은 여전히 살아있다"며 "올해도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수출이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가용한 모든 자원을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2월부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의 보복 관세가 본격 가동되고, '딥시크 쇼크'가 반도체업계를 강타해 수출 전선에도 적신호가 켜진 양상이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1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1월 수출액은 491억2천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10.3% 감소했다.
이로써 2023년 10월부터 작년 12월까지 15개월 연속 플러스 기록을 이어온 수출 플러스 행진은 멈췄다.
그러나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4억6천만달러로, 작년보다 7.7% 증가했다.
15대 주력 수출품 동향을 보면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와 컴퓨터 등 2개 품목을 제외한 13개 품목의 수출이 작년보다 감소했다. 일평균 수출 기준으로는 10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1월 반도체 수출은 101억달러로 작년보다 8.1% 증가하며 역대 1월 중 2022년(108억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실적을 기록했다. 반도체 수출은 9개월 연속 100억달러 이상을 기록하며 15개월 연속 전년 대비 수출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그러나 수출 2위 품목인 자동차 수출은 50억달러로 19.6% 감소했다. 현대차 등 완성차 업체와 부품 업체들이 설 연휴에 이어진 금요일을 추가 휴무일로 지정하면서 다른 업종보다 조업 일수 감소 영향이 컸다.
글로벌 전기차 캐즘 장기화로 전기차 수출은 50.3% 감소하고 내연기관차 수출도 20.8% 줄었으나 하이브리드차 수출은 37.1%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자동차 부품 수출도 15억7천만달러로 17.2% 감소했다.
석유제품 수출은 중국의 덤핑 수출에 따름 국제가격 하락과 국내 공장 폐쇄 및 조업 중단 등의 영향으로 29.8% 감소한 34억달러에 그쳤다.
이 밖에 디스플레이(-16.0%), 무선통신기기(-9.4%), 일반기계(-21.7%), 선박(-2.1%), 석유화학(-12.8%), 바이오헬스(-0.4%), 가전(-17.2%), 섬유(-15.5%), 철강(-4.9%), 이차전지(-11.6%) 등의 수출도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주요 시장인 미국과 중국으로의 수출이 모두 감소했다.
대중국 수출은 중국의 설인 춘제 연휴(1월28일∼2월4일) 등 영향으로 14.1% 감소한 92억달러로 집계됐다. 그러나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 기준 대중국 수출은 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미 수출도 9.4% 줄어든 93억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일평균 기준 수출은 8.7% 증가했다.
한국의 1월 수입액은 510억달러로 작년 동월 대비 6.4% 감소하며 1월 무역수지는 18억9천만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지난 2023년 6월 이후 19개월 연속 이어져온 흑자 행진이 중단된 것.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1월에는 장기 설 연휴로 조업일수가 크게 감소하면서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했지만 일평균 수출은 7.7% 증가하는 등 수출 동력은 여전히 살아있다"며 "올해도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수출이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가용한 모든 자원을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