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철도파업 대체인력에 대학생도 다수...부실대책 논란

철도대학 재학생들, 열차 운행 보조 '차장' 역할

코레일이 파업 조합원을 대체하기 위해 투입한 대체 인력 중 한국교통대 철도대학 재학생이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코레일 등에 따르면 지난 9일 전국철도노조가 파업을 시작한 뒤 교통대 철도대학 재학생 238명이 전동열차 승무원 대체 인력으로 투입돼 현직 기관사와 함께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코레일은 철도노조의 파업이 예상되자 철도대학 측에 공문을 보내 철도대학생 지원을 요청했으며 학생들에게는 하루 평균 4∼5시간 일하는 조건으로 실습 학점을 주기로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대부분 현직 기관사와 2인 1조로 전동열차에 탑승해 기관사와 교신하며 출입문 개폐 조작·출발 신호 전달, 중앙 관제와의 무선 교신, 여객 안내방송 등 열차 운행을 보조하는 '차장' 역할을 하고 있다.

코레일은 파업이 마무리될 때까지 학생들을 전동열차 승무원 대체 인력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파업에 대비 철도공사가 대체인력으로 활용하기 위해 미리 교육을 한 학생들"이라며 "지난 파업 때도 철도대 학생들을 활용했고 기관사가 아닌 승무원 인력이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철도대 재학생들은 아직 검증되지 않은 인력이라는 점에서 코레일이 열차 운행률을 높이려고 무리하게 대체 인력을 투입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특히 파업 이후 크고 작은 열차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코레일이 별다른 공지 없이 철도 재학생을 대체인력으로 활용한 사실이 드러남에 따라 열차 운행 안전에 대한 우려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철도노조 관계자는 "많은 사람을 태우고 움직이는 열차는 출입문 개폐 실수 하나도 대형사고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장의 역할을 단순 보조업무로만 볼 수 없다"라며 "숙련되지 못한 대학생을 차장으로 투입한 것은 운행률만 높이기 위한 졸속 대책"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6 4
    박근혜 미쳤구나

    학생을 동원해서 철도를 운행하나?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