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박2일 천막농성' 돌입, 서울광장 긴장
경찰 '강제해산' 방침, 양자간 물리적 충돌 우려도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오후 4시 서울광장에서 의원단 대책 긴급회의를 갖고 10일 경찰의 서울광장 폐쇄를 저지하기 위해 천막을 치고 밤샘농성에 돌입했다. 당직자들은 우천 속에서도 농성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서울광장에 대형 노란색 천막 2개를 설치했다.
이 농성에는 6.10범국민대회를 함께 치르기로 한 민주노동당 등 야4당과 시민사회단체들이 속속 합류하고 있다.
앞서 정세균 민주당대표는 긴급 성명을 통해 정부에 대해 국민대회 불허 방침 철회 및 서울광장 개방, 평화집회를 자극하는 물리력 행사 자제를 촉구했고, 참가자들에게도 비폭력 평화집회를 주문했다.
주최 측은 밤샘농성을 통해 경찰의 서울광장 봉쇄를 저지한 뒤 10일 정오부터 성공회 대성당 등에서 기념식을 진행한 뒤 오후 7시 서울광장에 집결해 정당ㆍ시민단체 대표자들의 시국선언,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 문화제 등을 연다는 계획이다.
민주당의 천막 설치에 대해 서울시 정효성 대변인은 "서울광장 행사나 시설물 설치는 사전에 허가를 받아야 한다"며 "광장 사용의 원칙이 있는데 이를 무시하고 불법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은 유감"이라며 즉각 철수를 요청했다.
10일 집회를 불법집회로 규정하며 불허방침을 밝힌 공안당국도 강력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경찰은 이날 오후 5시 강희락 경찰청장 주재로 종합경비대책회의를 열고 10일 집회와 관련한 종합 대책을 논의했다. 경찰은 주최 측이 10일 서울광장에서 집회를 강행할 경우 170개 중대 1만5천여명을 배치해 집회를 강제 해산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물리적 충돌도 예상되고 있다.
한나라당도 이날 대변인 논평을 통해 "민주당이 ‘광장정치’를 하려는 속셈을 잘 알고 있다. BBK선동, 광우병 선동, 모두 거짓이었다. 또 무슨 선동을 하려고 그러시는가"라며 "서울광장은 정치인의 것이 아니다. 정당의 것도 아니다. 불행히도 지금 민주당은 광장에서 길을 잃어버렸다"고 민주당을 맹비난했다.
한나라당은 또 "경제위기는 현재진행형이다. 이 와중에 민생을 버리고 당리당략을 쫓는 것은 작은 정치"라며 "사심으로 정부를 비판하지 말고, 국익을 가늠해주기를 바란다"며 집회 철회를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