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주 52시간 적용 예외' 왔다갔다?
"100이 안되면 50이라도 가는 게 좋다". 당 안팎 반발에 후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5일 반도체특별법과 관련한 재계와의 간담회에서 '주 52시간제 적용 예외'를 빼고 나머지 지원방안만 먼저 처리하자고 말했다는 보도가 잇따라 논란이 일고 있다.
전날까지만 해도 '적용 예외'에 전향적이었던 이 대표가 진성준 정책위의장 등 당내 반대와 민주노총, 참여연대 및 김동연 경기지사 등 외부의 질타에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는 대목이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이 대표는 이날 4대그룹 싱크탱크와의 비공개 간담회에서 “반도체법에서 다른 부분은 이견이 없는데 주 52시간 적용 예외 조항만 문제가 되고 있다”며 “경제계가 양보해 이것만 빼고 나머지를 우선 처리하면 어떻겠나”는 취지로 제안했다고 한다.
아울러“100개 하려다가 안 하는 것보다야, 50개라도 먼저 하는 게 낫지 않냐”는 말도 했다.
한 참석자는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양보 가능성에 대해 기업 측 참석자 중 아무도 답을 하지 않았다”며 재계쪽 반응을 전했다.
간담회에 참석했던 민주당 한 의원도 <머니투데이>와의 통화에서 "(이 대표가) 법안의 목표가 100이었는데 100을 다 달성하면 좋지만 조정을 하다 50개 밖에 달성이 안 됐으면 50개라도 가는 게 맞다, 100이 안됐다고 (전부를) 포기하는 게 맞냐고 말했다"며 "조금 더 논의하면서 합의된 것부터 처리하는 게 좋은 게 아니냐는 취지였다"고 밝혔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파문이 일자 입장문을 통해 "이 대표는 '업계가 기업 현장의 의견을 자유롭고 합리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을 뿐, 업계에 주 52시간 유연화를 양보해달라거나 주 52시간 제외한 반도체특별법 우선 처리를 제안했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진화에 나섰다.
전날까지만 해도 '적용 예외'에 전향적이었던 이 대표가 진성준 정책위의장 등 당내 반대와 민주노총, 참여연대 및 김동연 경기지사 등 외부의 질타에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는 대목이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이 대표는 이날 4대그룹 싱크탱크와의 비공개 간담회에서 “반도체법에서 다른 부분은 이견이 없는데 주 52시간 적용 예외 조항만 문제가 되고 있다”며 “경제계가 양보해 이것만 빼고 나머지를 우선 처리하면 어떻겠나”는 취지로 제안했다고 한다.
아울러“100개 하려다가 안 하는 것보다야, 50개라도 먼저 하는 게 낫지 않냐”는 말도 했다.
한 참석자는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양보 가능성에 대해 기업 측 참석자 중 아무도 답을 하지 않았다”며 재계쪽 반응을 전했다.
간담회에 참석했던 민주당 한 의원도 <머니투데이>와의 통화에서 "(이 대표가) 법안의 목표가 100이었는데 100을 다 달성하면 좋지만 조정을 하다 50개 밖에 달성이 안 됐으면 50개라도 가는 게 맞다, 100이 안됐다고 (전부를) 포기하는 게 맞냐고 말했다"며 "조금 더 논의하면서 합의된 것부터 처리하는 게 좋은 게 아니냐는 취지였다"고 밝혔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파문이 일자 입장문을 통해 "이 대표는 '업계가 기업 현장의 의견을 자유롭고 합리적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을 뿐, 업계에 주 52시간 유연화를 양보해달라거나 주 52시간 제외한 반도체특별법 우선 처리를 제안했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진화에 나섰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