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여야, '정년 60세 의무화' 합의

고령화시대에 큰 진전, 청년실업대란 심화 우려도

여야는 22일 정년을 60세로 의무화하는 데 합의, 노동시장에 일대 변화를 예고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법안심사소위원회는 이날 공공ㆍ민간 부문의 모든 정년을 60세로 의무화하고, 이를 오는 2016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하는 방향으로 일명 '정년 60세 연장법'에 합의했다.

구체적으로 오는 2016년 1월 1일부터 공기업, 공공기관, 지방공기업, 300인 이상 사업장에 적용되고 2017년 1월 1일부터는 300인 미만 사업장에도 적용된다.

지금까지 정년 60세는 강제성이 없는 권고 사항이었으나, 이번 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정년이 60세로 의무화되면서 노동시장에 일대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고령화시대에 정년 연장 및 보장은 장년층 고용 안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나, 별도의 청년고용 대책이 수립되지 못할 경우 자칫 청년실업대란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야는 다만 정년 연장으로 인한 기업의 부담을 덜어주는 조치와 관련, 정부와 여당은 '임금 조정'에 관한 표현을 포함할 것을 주장한 반면 야당은 '임금 조정' 문구를 넣으면 악용될 소지가 있다며 '임금체제 개편'과 같은 포괄적 표현을 요구하면서 최종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

환노위 법안심사소위는 23일 오전 회의를 속개해 마지막 쟁점 타결을 시도할 예정이다.

한편 사내하도급 근로자가 차별적 처우를 받았을 경우 시정절차를 마련하는 등 사내하도급 근로자의 고용안정 및 처우 개선을 골자로 한 '사내하도급 근로자 보호 등의 법률 제정안' 처리는 여야 이견으로 통과되지 못했다.

여당 의원들은 "현실적으로 사내하도급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내하도급 근로자의 고용 안정 보장이 우선"이라면서 법 제정을 주장했지만, 야당 의원들은 "사내하도급법이 불법파견을 합법화할 수 있다. 불법파견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며 반대했다.
최병성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10 개 있습니다.

  • 1 0
    정치정치만

    불투명하게 오너라고 자기 맘대로 경영한다. 이런 회사 주식은 절대로 안 산다. 벤쳐에서 몇 번 부도덕한 경영자를 만났었다. 불루투스 헤드셋 완성하고 양산시작 하니 회사 팔았다. 어느날 에쿠스에서 아우디 A8 몰고 오더라. 줄 확 긋고 싶었다. 이게 한국의 경영자들이다. 누가 하나 끝까지 가지 않는다. 그러면 병신이다

  • 0 1
    정치정치만

    삼송에서 애니콜 신화의 주역이었다. 그 때는 엔지니어로 성장하는게 꿈이었지만 언제 접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을 시기에 접었다. 한국 기업에 투자하는 외국인이 작은 회사 주식을 사지 않는다. 왜냐면 부도덕하게 운영을 하니까 투명하지 않아 투자를 안한다. 코스피에서도 삼송같은 큰 회사만 한다. 왜냐고?

  • 0 0
    정치정치만

    공기업 공무원으로의 선망이 더욱 강렬해진다. 이런 저질스런 나라가 어디 있나? 쪽발 나라도 이렇지 않다. 왜가 미치도록 싫지만 이것만 따져도 한국은 절대 못 따라 간다. 기술은 오랜 숙련이 필요한데 한국에서는 불가능이다. 기초기술은 더 없다. 삼송은 기술을 돈 주고 사면 그만이다. 작은 회사 죽이면 그만이쥐

  • 1 0
    정치정치만

    국가가 공기업 공무원 대기업 강성노조원들에게 선물을 안기어 주었군. 다른 회사에 다니는 사람이 60세까지 있을 수 있는가? 이미 삼송은 40세가 임원이다. 외국에서 박사 받고 삼송 다녀야 임원한다. 보통 직원들 45세면 나가야 할 때이다. 임원 못 달면 언제까지 버틸까? 이번 정책 효과 없다.

  • 0 0
    정치정치만

    공무원 공기업 이런데 다니는 사람이 더 좋아 할 정책을 남발했다. 아니면 대기업 강성노조 회사. 거기에 포함되지 않은 사람은 60세 정년 연장 웃기고 있네. 좀 있으면 국민연금 지급 시기를 늦추는 작업을 할 것이다. 이미 회사는 40세 중반에 짤렸는데 국민연금은 70세 받아 봐라 미친다 한국

  • 1 0
    정치정치만

    젊은 엔지니어들은 잘 선택해야 한다. 삼송에 오래 남아 있을려면 외국은 필히 갔다와야 한다. 서울대 출신이 임원하는 시대는 이미 지나 갔다. 프린스턴 박사도 자살하는 삼송은 엔지니어의 무덤이다. 아니 이 나라 기업들 자체가 엔지니어 무덤이다. 엔지니어 무덤에서 사는 법 한국을 떠나라!!!

  • 1 0
    정치정치만

    왜 유독 한국만 자영업자가 많은가? 회사를 일찍 그만두면 할 일이 없다. 왜 기술이 없기 때문이다. 엔지니어로 출발했지만 회사에서 퇴출 되기 한참 전에 엔지니어를 버렸으니 기술이 있겠는가? 그렇다고 사람 잘 구슬리는 정치를 잘하나? 할 수 있는것은 식당 주인? 참으로 애석하다

  • 1 0
    정치정치만

    삼송에서 대리까지가 엔지니어이다. 과장부터 정치한다. 그때부터 줄을 잘 서야 한다. 삼송 반도체 프린스턴 박사도 자살했다. 엔지니어가 엔지니어로서의 일을 할 수 없는 나라 이 나라가 개한국이다. 오로지 정치를 잘 해야 밥 먹고 산다. 일도 적당히 떼우고 윗 사람 눈에 나지 않게 하면 된다.

  • 1 0
    정치정치만

    엔지니어로 60세까지 회사에 남아 있는 사람이 거의 없다. 40세 정도되면 이미 퇴출이 시작된다. 진급 못하면 나가야 한다. 자리는 한정되어 있고 다들 부장 할 수 있냐? 기업들의 이런 구조는 결국 엔지니어 등 전문직이 사라졌다. 그래서 정치를 시작한다. 한국은 모든게 정치판이다.

  • 5 1
    에라이

    지난 대선에서 50대 유권자들의 기록적인 투표율이 만들어낸 결과군요.
    50대가 무섭긴 한가보네요. 이것이 바로 투표의 중요성.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