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부, "IMF지원 신청 안 해"→"IMF안 보고"
사흘만에 입장 바꿔, '재정부 오락가락'에 대외신인도 골병
기획재정부가 종전 입장을 바꿔 국제통화기금(IMF)이 우량신흥국가들을 대상으로 마련중인 달러통화스와프 방식의 자금 지원을 신청할 가능성을 열어놔, 또다시 '오락가락' 비난을 자초하고 있다.
신제윤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은 27일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IMF가 마련중인 새로운 자금지원 프로그램을 한국이 이용할 것이냐는 기자들 질문에 "IMF가 마련중인 안(案)을 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기자들이 자금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냐고 반문하자 "IMF가 아직 상품을 만들지도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가능성을 열어놓자는 의미"라며 거듭 신청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러나 재정부는 불과 사흘전인 24일에는 정반대 입장을 밝혔었다.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이 IMF가 한국 등을 대상으로 한 새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중이라고 보도하자, 최종구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장은 이날 오후 기자실에서 긴급 브리핑을 갖고 "IMF에서 거시경제가 괜찮아도 외화 유동성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나라들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인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그러나 멕시코, 브라질, 동유럽 등과 함께 우리나라가 여기에 포함될 것이라는 것은 사실이 아니며 기자 개인의 생각"이라고 강력부인했다.
그는 "IMF도 우리 외환보유액이 얼마나 되는지 잘 알고 있고 여러 차례 우리 대외부문의 건전성에 대해 발표했다"며 "어떤 경우에도 IMF 지원 등을 받기 위해서는 그 나라가 신청해야 하는데 IMF가 우리를 (프로그램 대상에) 집어넣을 가능성은 없다"며 결코 지원을 신청하는 일은 없을 것임을 단언했다.
이렇게 단호했던 재정부 입장이 불과 사흘만에 싹 바뀐 셈이다.
사흘 전이나 지금이나 IMF의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 IMF는 현재 펀더맨털은 건전하나 글로벌 금융경색으로 달러화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우량 신흥국가에게 단기간동안 스와프 형태로 돈을 빌려주는 SLS(Short Liquidity Swap Facility)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다. IMF는 글로벌 금융경색이 신흥국가들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빠르면 29일(현지시간) 집행이사회에서 이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의 일차적 대상으로는 아시아에서 원-달러 환율이 최대 폭등하고 있는 한국을 비롯해 멕시코, 브라질 등 중남미국가들이 거론되고 있다. 이미 동유럽 신흥국가들을 강타하고 있는 국가 떼도산이 아시아나 중남미로 번질 경우 도저히 수습불가능한 세계 대공황이 발발할 것이란 판단에서다.
IMF는 통화스왑에 필요한 자금은 이미 자국의 9천800억달러 외환보유고를 활용토록 하겠다고 제안한 일본을 비롯해, 1조8천억달러의 외환보유고를 갖고 있는 중국과 막대한 오일머니를 쥐고 있는 중동산유국 등에서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아직까지 2천300여억달러의 외환보유고를 갖고 있는 우리나라가 과연 IMF의 새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할 것인지 여부는 신중에 신중을 기해 결정할 일이다. 그러나 불과 사흘 전 결코 그런 일이 없을 것이라고 호언장담하며 외신을 비난했던 재정부가 슬그머니 꼬리를 내리는 모양새를 보였다는 사실 자체가 정부에 대한 불신을 증폭시키는 동시에, 한국의 대외신인도를 골병들게 하고 있다는 사실을 재정부만 모르는듯 싶다.
신제윤 기획재정부 국제업무관리관은 27일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IMF가 마련중인 새로운 자금지원 프로그램을 한국이 이용할 것이냐는 기자들 질문에 "IMF가 마련중인 안(案)을 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기자들이 자금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냐고 반문하자 "IMF가 아직 상품을 만들지도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가능성을 열어놓자는 의미"라며 거듭 신청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러나 재정부는 불과 사흘전인 24일에는 정반대 입장을 밝혔었다.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이 IMF가 한국 등을 대상으로 한 새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중이라고 보도하자, 최종구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국장은 이날 오후 기자실에서 긴급 브리핑을 갖고 "IMF에서 거시경제가 괜찮아도 외화 유동성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나라들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인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그러나 멕시코, 브라질, 동유럽 등과 함께 우리나라가 여기에 포함될 것이라는 것은 사실이 아니며 기자 개인의 생각"이라고 강력부인했다.
그는 "IMF도 우리 외환보유액이 얼마나 되는지 잘 알고 있고 여러 차례 우리 대외부문의 건전성에 대해 발표했다"며 "어떤 경우에도 IMF 지원 등을 받기 위해서는 그 나라가 신청해야 하는데 IMF가 우리를 (프로그램 대상에) 집어넣을 가능성은 없다"며 결코 지원을 신청하는 일은 없을 것임을 단언했다.
이렇게 단호했던 재정부 입장이 불과 사흘만에 싹 바뀐 셈이다.
사흘 전이나 지금이나 IMF의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 IMF는 현재 펀더맨털은 건전하나 글로벌 금융경색으로 달러화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우량 신흥국가에게 단기간동안 스와프 형태로 돈을 빌려주는 SLS(Short Liquidity Swap Facility)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다. IMF는 글로벌 금융경색이 신흥국가들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빠르면 29일(현지시간) 집행이사회에서 이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의 일차적 대상으로는 아시아에서 원-달러 환율이 최대 폭등하고 있는 한국을 비롯해 멕시코, 브라질 등 중남미국가들이 거론되고 있다. 이미 동유럽 신흥국가들을 강타하고 있는 국가 떼도산이 아시아나 중남미로 번질 경우 도저히 수습불가능한 세계 대공황이 발발할 것이란 판단에서다.
IMF는 통화스왑에 필요한 자금은 이미 자국의 9천800억달러 외환보유고를 활용토록 하겠다고 제안한 일본을 비롯해, 1조8천억달러의 외환보유고를 갖고 있는 중국과 막대한 오일머니를 쥐고 있는 중동산유국 등에서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아직까지 2천300여억달러의 외환보유고를 갖고 있는 우리나라가 과연 IMF의 새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할 것인지 여부는 신중에 신중을 기해 결정할 일이다. 그러나 불과 사흘 전 결코 그런 일이 없을 것이라고 호언장담하며 외신을 비난했던 재정부가 슬그머니 꼬리를 내리는 모양새를 보였다는 사실 자체가 정부에 대한 불신을 증폭시키는 동시에, 한국의 대외신인도를 골병들게 하고 있다는 사실을 재정부만 모르는듯 싶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