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재야원로들, '정동영 지지' 공식 선언

"문국현-권영길도 모두 뭉쳐야", 문국현측 "대선에 영향 못미쳐"

시민사회-종교계 원로들이 17일 민주개혁진영 단일후보로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후보 지지를 공식 선언하며 범여권의 표몰아주기를 호소했다.

재야원로들 “대선은 현실, 현실적 답안은 정동영”

범여권 후보단일화를 중재했던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를 비롯해 고은 시인, 함세웅 신부 등 시민사회 원로들은 17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민주개혁진형의 후보자들이 아직껏 단일화를 이뤄내지 못하고 있는데 국민 스스로가 나설 때”라며 이 같이 밝혔다.

이들은 “이제는 그 누구더러 양보하라고 다그칠 것 없이 국민들이 선택권을 행사하는 것”이라며 “자기가 처음부터 지지했던 후보가 아니더라도 가장 가능성이 있고 다수의 힘을 집결시킬 수 있는 후보를 밀어주는 길만이 남았다”고 범여권 1위 지지율 1위인 정동영 후보에 대한 지지를 공식 선언했다.

이들은 범여권 후보단일화를 ‘무원칙한 정치연합’이라고 비판해온 문국현 후보를 겨냥해 “이것은 결코 무원칙한 연합이 아니다”라고 반박하며 “진실규명의 일차적 책임을 지닌 검찰에 대한 기대가 이미 무너졌고 특검법이 통과되더라도 특검수사 또한 국민 모두의 관심과 압력 없이는 원활하지 못할 것이 분명한 상황에서, 당장의 선거결과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중장기적 발전을 내다보는 원칙적 선택”이라고 주장했다.

함세웅 신부는 기자회견에서 “사실상 정동영 후보에 대한 지지선언이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렇다.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것”이라며 이날 기자회견이 정동영 후보 지지 자리임을 분명히 했다.

장임원 중앙대 명예교수는 “대선은 현실이 아니겠나. 우리가 답하는 것도 현실적 답안이라고 생각한다”며 “가장 가능성 높은 후보(정동영)께 부탁드리고 싶다. 문국현 후보도 진짜 경제를 이야기하고 있고 권영길 후보도 민생경제를 이야기하고 있다. 이런 여러 후보들의 뜻을 흡수하고 받들어서 정치민주화에 이어 경제민주화로 나아가달라”고 주문했다.

김용태 민예총 이사장도 “지금 이 지경까지 온 것을 부끄럽게 생각한다. 문국현 후보나 권영길 후보나 모두 뭉쳐서 이 난국을 타개해야 한다고 본다”며 “우리가 될 수 있는 분들을 적극적으로 도와서 그야말로 한나라당이 역사를 뒤로 물리는 상황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는 “오늘 우리는 민주개혁세력 선거에서 승리하기를 바라고 나왔지만 지금 이 사태는 정책이나 노선 이전의 문제”라며 “몰상식이 횡행해서 극에 달하는 엄청난 혼란과 사회적 비용을 우리 사회가 보수.진보 할 것 없이 감수해야 하느냐, 아니면 국민들이 상식에 입각한 판단을 해서 우리가 또 한 걸음 정상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는가의 갈림길에 있다”며 정동영 지지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함세웅 신부는 “BBK 검찰 발표 이후 언론이 본모습을 드러내고 있다”며 “7,80년대는 독재정권의 폭압 때문에 비겁한 언론을 동정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언론이 스스로 부패한 권력과 재벌 앞에 머리 숙이고 한 패가 되고 있다”고 언론을 맹비난했다.

문국현측 “그 분들의 정치적 권리일 뿐”

문국현 창조한국당 후보측은 이같은 재야원로들의 정동영 지지를 몇몇 개인의 의견 표현으로 일축했다.

김갑수 선대위 대변인은 “그 분들의 정치권 권리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며 “우리를 민주세력 분열 책임론으로 압박하고 단일화에 대한 압박을 펴면서 단일화하지 않으면 거짓 민주세력을 규정하겠다고 한 분들이 정동영 후보를 지지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냉소적 반응을 보였다. 그는 “그 분들의 지지선언이 대선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라며 재야들의 영향력을 일축하기도 했다.
최병성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4 개 있습니다.

  • 23 45
    auto

    재야원로들 모욕말라고?
    모욕해야겠다.
    저들이 무슨 재야원로들인가.
    김대중 떨거지들일뿐이지.
    함부로 재야라는 말을 쓰지 말라.

  • 58 14
    청렴한국

    문후보 지지자들 말 함부로 말라
    재야 원로분들을 모욕하지 마라. 문국현이 재야 원로보다 이 나라 민주주의를 위해 더 위대한 업적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과 같다.

  • 28 56
    auto

    패권주의 갇힌 원로들의 코미디.
    패권에 사로잡히면, 삶과 정치가 이기고 지는 것처럼 단순해질 수 있는가보다.
    저들은 더이상 원로가 아니다.
    그저 노인정에서, 광화문에서 성조기들 든 노인네들 속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노인들에 불과하다.
    진보란 무엇인가?
    역사란 무엇인가?
    원로들이 스스로에게 죽을때까지 이 두 화두를 붙잡고 싸워보길 권한다.

  • 52 38
    하전사

    비실비실한 노인들
    따발총 한 탄창 값도 못되는.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