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장원 "尹 '싹 잡아들이라' 했다" vs 尹 "격려전화한 것"
尹측 "간첩 잡으라 한 것" vs 홍 "계엄 난리 와중에 격려 전화?"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4일 탄핵심판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직후 전화해 "싹 잡아들이라"고 했다고 증언하자, 윤 대통령 측은 "간첩을 잡아들이라고 한 것"이라고 강변했다.
홍 전 차장은 이날 윤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윤 대통령이 '싹 다 잡아들이라, 국정원에 대공 수사권을 줄 테니 국군방첩사령부를 도우라'고 말했느냐"는 국회 측 질문에 "그렇게 기억한다"고 답했다.
홍 전 차장은 다만 "누구를 잡아들여야 하는지는 전달받지 못했다"며 이를 파악하기 위해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에게 전화했다고 설명했다.
또 여 전 사령관이 불러주는 체포 명단을 받아 적었다면서 "적다 보니 이게 뭐지, 생각이 들어서 뒤 내용은 반 정도 적다가 추가로 적지 않았고, 나름대로 기억을 회복해 적어 보니까 14명, 16명 정도 됐나(하고) 기억한다"고 증언했다.
이날 국회 측은 홍 전 차장과 윤 대통령, 여 전 사령관의 통화 기록도 공개했다.
국회 측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이 오후 8시께 홍 전 차장에게 전화했으나 홍 전 차장은 받지 못했고, 오후 8시 22분께 홍 전 차장이 다시 윤 대통령에게 전화해 20초간 통화했다. 이때 윤 대통령은 '1∼2시간 이후 중요하게 할 일이 있으니 대기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이후 윤 대통령은 오후 10시 53분께 홍 전 차장에게 전화를 걸어 1분 24초간 통화했다.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이 이 통화에서 "싹 다 잡아들이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홍 전 차장의 증인 신문이 끝난 뒤 발언권을 얻어 계엄 당일 두 차례에 걸쳐 홍 전 차장과 통화한 사실을 시인한 뒤, 첫 전화는 조태용 국정원장이 미국 출장중인 것으로 잘못 알고 저녁에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해 "국정원장 부재니 국정원을 잘 쟁겨라, 전화할 일 있을지 모르니 비화폰을 챙겨라"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두번째 전화는 당일 밤 11시가 다 되어였다며 "해외 순방 때 국정원의 해외 담당 파트가 여러 가지 경호 정보를 많이 도왔기 때문에 격려 차원에서 전화를 해야겠다고 해서, 계엄 사무가 아닌 간첩 검거와 관련해 방첩사(국군 방첩사령부)를 도와주라는 얘기를 한 것"이라고 강변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국정원은 수사권이 없고 검거는커녕 위치 추적을 할 수가 없다"며 "(체포 관련 내용)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저는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 측 김계리 변호사도 "(대통령은) 간첩들을 싹 다 잡아들이라고 말한 것"이라며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지 않았는데 증인 혼자 그렇게 이해한 것 아니냐"고 가세했다.
홍 전 차장은 증인신문 이후 기자들과 만나 "한창 비상계엄 관련된 국무회의가 진행 중이고 수방사(수도방위사령부), 특전사(특수전사령부)가 막 난리를 치는데 예전에 해외 한번 나갔다 왔던 1차장한테 격려차 전화를 하신다, 그 시간에?"라고 힐난했다.
홍 전 차장은 이날 윤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윤 대통령이 '싹 다 잡아들이라, 국정원에 대공 수사권을 줄 테니 국군방첩사령부를 도우라'고 말했느냐"는 국회 측 질문에 "그렇게 기억한다"고 답했다.
홍 전 차장은 다만 "누구를 잡아들여야 하는지는 전달받지 못했다"며 이를 파악하기 위해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에게 전화했다고 설명했다.
또 여 전 사령관이 불러주는 체포 명단을 받아 적었다면서 "적다 보니 이게 뭐지, 생각이 들어서 뒤 내용은 반 정도 적다가 추가로 적지 않았고, 나름대로 기억을 회복해 적어 보니까 14명, 16명 정도 됐나(하고) 기억한다"고 증언했다.
이날 국회 측은 홍 전 차장과 윤 대통령, 여 전 사령관의 통화 기록도 공개했다.
국회 측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이 오후 8시께 홍 전 차장에게 전화했으나 홍 전 차장은 받지 못했고, 오후 8시 22분께 홍 전 차장이 다시 윤 대통령에게 전화해 20초간 통화했다. 이때 윤 대통령은 '1∼2시간 이후 중요하게 할 일이 있으니 대기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이후 윤 대통령은 오후 10시 53분께 홍 전 차장에게 전화를 걸어 1분 24초간 통화했다.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이 이 통화에서 "싹 다 잡아들이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홍 전 차장의 증인 신문이 끝난 뒤 발언권을 얻어 계엄 당일 두 차례에 걸쳐 홍 전 차장과 통화한 사실을 시인한 뒤, 첫 전화는 조태용 국정원장이 미국 출장중인 것으로 잘못 알고 저녁에 홍 전 차장에게 전화해 "국정원장 부재니 국정원을 잘 쟁겨라, 전화할 일 있을지 모르니 비화폰을 챙겨라"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두번째 전화는 당일 밤 11시가 다 되어였다며 "해외 순방 때 국정원의 해외 담당 파트가 여러 가지 경호 정보를 많이 도왔기 때문에 격려 차원에서 전화를 해야겠다고 해서, 계엄 사무가 아닌 간첩 검거와 관련해 방첩사(국군 방첩사령부)를 도와주라는 얘기를 한 것"이라고 강변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국정원은 수사권이 없고 검거는커녕 위치 추적을 할 수가 없다"며 "(체포 관련 내용)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저는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 측 김계리 변호사도 "(대통령은) 간첩들을 싹 다 잡아들이라고 말한 것"이라며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지 않았는데 증인 혼자 그렇게 이해한 것 아니냐"고 가세했다.
홍 전 차장은 증인신문 이후 기자들과 만나 "한창 비상계엄 관련된 국무회의가 진행 중이고 수방사(수도방위사령부), 특전사(특수전사령부)가 막 난리를 치는데 예전에 해외 한번 나갔다 왔던 1차장한테 격려차 전화를 하신다, 그 시간에?"라고 힐난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