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공직인사 7대 배제 원칙에 어긋난 인사 한 명도 없다"
전희경 "조국은 '전참시'의 곁다리 아닌 척수"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은 31일 문재인 정부 인사와 관련, "공직인사 배제 원칙인 7대 비리에 해당하는 사람은 한 명도 없다"고 주장했다.
조 수석은 이날 오후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전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이 "인사 청문 보고서 채택이 안 된 부적격자들을 보면 모두 조 수석과 인연이 있는 참여연대, 민변, 전대협 출신"이라고 질타하자 이같이 답했다. 청와대는 지난해 11월 병역면탈, 부동산 투기, 탈세, 위장전입, 논문표절, 음주운전, 성관련 범죄 등을 임용 원천배제 원칙으로 제시했다.
그는 그러면서 "검증 시스템이 부족한 면이 있었을 것이지만 검증팀이 최선을 다해서 결과를 제출했고 인사추천위원회가 결정을 했다"고 덧붙였다.
그러자 전 의원은 "그동안 인사참사로 문제가 될 때 그 자리에 오래 못 앉아있겠구나 생각을 했었다"며 "요즘 인기 있는 예능프로그램 중 '전참시'(전지적 참견 시점)이 있는데 조 수석은 '전대협, 참여연대로 구성된 시대착오적 좌파정권'의 곁다리가 아니라 척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민주당 의원들은 "왜 색깔론이 안나오나 했다", "내용을 가지고 질의하라"고 반발했다.
그러자 전 의원은 김태우 파동을 거론하며 "김태우 수사관을 두고 개인적 일탈, 비위 혐의자로 하는데 그럼 지난해 7월부터 뭘 했던 것이냐. 김태우는 이인걸 전 특감반장에게 월 10만원씩 격려금을 받으면서 일했다고 한다"고 추궁했다.
이에 조 수석은 "김 수사관은 2017년 7월 입직하자마자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켰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특혜성 운용을 막으면서 문제가 시작됐다"며 "전 의원의 정치적인 주장, 저에 대한 비방과 풍자, 야유는 모든 자유지만, 사실관계는 공적 결과를 통해 밝혀져야 하고, 국가기관에서 확정된 것은 존중돼야 마땅하다"고 맞받았다.
조 수석은 이날 오후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전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이 "인사 청문 보고서 채택이 안 된 부적격자들을 보면 모두 조 수석과 인연이 있는 참여연대, 민변, 전대협 출신"이라고 질타하자 이같이 답했다. 청와대는 지난해 11월 병역면탈, 부동산 투기, 탈세, 위장전입, 논문표절, 음주운전, 성관련 범죄 등을 임용 원천배제 원칙으로 제시했다.
그는 그러면서 "검증 시스템이 부족한 면이 있었을 것이지만 검증팀이 최선을 다해서 결과를 제출했고 인사추천위원회가 결정을 했다"고 덧붙였다.
그러자 전 의원은 "그동안 인사참사로 문제가 될 때 그 자리에 오래 못 앉아있겠구나 생각을 했었다"며 "요즘 인기 있는 예능프로그램 중 '전참시'(전지적 참견 시점)이 있는데 조 수석은 '전대협, 참여연대로 구성된 시대착오적 좌파정권'의 곁다리가 아니라 척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민주당 의원들은 "왜 색깔론이 안나오나 했다", "내용을 가지고 질의하라"고 반발했다.
그러자 전 의원은 김태우 파동을 거론하며 "김태우 수사관을 두고 개인적 일탈, 비위 혐의자로 하는데 그럼 지난해 7월부터 뭘 했던 것이냐. 김태우는 이인걸 전 특감반장에게 월 10만원씩 격려금을 받으면서 일했다고 한다"고 추궁했다.
이에 조 수석은 "김 수사관은 2017년 7월 입직하자마자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켰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특혜성 운용을 막으면서 문제가 시작됐다"며 "전 의원의 정치적인 주장, 저에 대한 비방과 풍자, 야유는 모든 자유지만, 사실관계는 공적 결과를 통해 밝혀져야 하고, 국가기관에서 확정된 것은 존중돼야 마땅하다"고 맞받았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