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또 '4대강 사진 조작' 파문
"낙동강변 사진이 팔당으로 둔갑", 벌써 3번째 사진조작
조정식, 김상희 민주당 의원과 팔당공대위 등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토해양부가 팔당유기농지를 빼앗기 위해 거짓홍보와 사실을 조작했다"며 국토해양부가 지난달 30일 언론에 배포한 보도자료의 사진을 문제삼았다.
문제의 보도자료는 국토부 산하 '4대강 살리기추진본부 공사3팀'이 작성한 <팔당유기농 경작지 보상을 위한 수용재결신청> 자료로, 국토부는 해당 자료에서 "유기농도 일반경작지와 마찬가지로 하천을 오염시키고 있다"며 그 근거로 <하천부지 경작지의 퇴비 보관 장면>이라는 제목의 사진 2장을 실었다.
조정식 의원은 그러나 "사진은 팔당지역 어디의 모습일까? 놀랍게도 사진 속 모습은 팔당지역의 어느 곳에서도 발견할 수 없는 풍경이었다"며 "수소문 끝에 '팔당공대위'가 확인한 결과 국토해양부의 보도자료에 게시된 지역은 부산과 김해시를 사이에 두고 있는 낙동강변으로 밝혀졌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확한 근거와 사실을 토대로 국민들을 성실하게 설득해도 부족할 상황에 정부의 공식 보도자료에 허위사실을 적시하고 엉뚱한 증거사진을 올려 진실을 왜곡하고 감추기에 급급해하는 국토해양부의 한심한 작태에 답답함과 함께 분노를 느끼지 않을 수 없다"며 정부를 질타한 뒤,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은 팔당유기농 농민과 국민께 공개적으로 사과하고, 국토부는 언론보도를 바로잡기 위한 정정보도를 게재하라"고 촉구했다.
![](image/article/2010/05/0617264205666400.jpg)
국토부가 4대강사업의 당위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진 조작'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정부가 지난 2009년 3월 4대강 살리기 홍보 영상에서 "물고기가 살지 않는 강"이라며 소개한 물고기 떼주검 사진은 한국의 강이 아니라 지난 1986년 미국의 시애틀 두와미시 강에서 독극물로 떼죽음을 당한 연어 사진으로 밝혀진 바 있다.
또 정부가 지난 해 10월 방송광고에서 "4대강 유역에 자연습지가 전무하다"며 메마르고 갈라진 땅을 소개한 사진도 4대강 사업과 관련없는 경남 고성군 삼덕저수지와 남해군 유구마을 사진인 것으로 드러나 빈축을 산 바 있다.
![](image/article/2010/05/0617355899886900.jpg)
![](image/article/2010/05/0617360632544400.jpg)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