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째 용산참사' 추모집회, 충돌없이 마무리
<현장>1천여 시민, 명동에서 자정께 해산
용산 철거민 참사 이틀째인 22일에도 '용산철거민 살인진압 범국민대책위원회(대책위)가 주최한 추모집회가 열렸다.
1천여명의 시민들이 모인 가운데 당초 오후 7시로 예정됐던 집회는 차벽으로 차도 진입을 차단한 경찰과 이에 항의하는 시민들이 실랑이를 벌이면서 7시 20분께 시작됐다.
경찰은 집회 시작 전부터 차도 진입 차단을 위해 현장 주변에 차벽을 쌓고 36개 중대 2천500명을 동원해 서울역과 한강대교로 이어지는 길을 모두 막았다.
경찰은 특히 오후 7시께부터는 횡단보도의 통행마저 막아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50여미터 가량 중앙선을 통해 이동하는 불편을 초래, 거센 항의를 받기도 했다.
집회는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작가 조세희 선생, 임태순 전국철거민연합 연대사업국장,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백남수 사무국장의 자유발언 등으로 1시간 남짓 진행됐다.
대책위측은 이날 집회에서 "경찰이 강경진압이 불러온 참사를 철거민들의 폭력 행위 탓으로 돌리고 있다"며 "철저한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정권 퇴진 운동도 불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책위는 예정된 행사를 끝내고 오후 8시 10분께 "경찰이 길을 모두 봉쇄해 거리 행진이 불가능하다"며 집회 종료를 선언했다.
그러나 참가자들은 경찰과의 물리적 충돌을 피해 지하철역을 통해 명동에 모여들어 집회를 이어갔다. 6백여명의 참가자들이 명동 롯데백화점 맞은 편 아바타몰 앞에서 경찰과 대치를 시작했으며 2백여명은 명동성당 앞 차도를 원천봉쇄한 경찰과 크고 작은 몸싸움을 벌였다.
경찰은 집회가 1시간을 넘어서자 오후 10시부터 두 차례 해산 및 검거방송을 하고 경찰기동대를 투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지만 전날과 달리 강제해산은 이뤄지지 않았다.
오후 11시께는 경찰이 40대 남성 1명을 연행했지만 시민들이 연행 차량을 둘러싸고 강하게 항의하자 풀어주기도 했다.
경찰은 연행 사유를 묻자 "술이 많이 취해 도와주려고 한 것일뿐 연행하려던 것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집회는 자정께 참가자들이 자진 해산하면서 별다른 충돌 없이 마무리됐다. 대책위는 22일에도 추모집회를 이어가며 23일에는 서울역 광장에서 대규모 범국민대최를 개최할 예정이다.
한편, 시신 인도를 요구하며 20일부터 순천향대병원 장례식장에서 대기하던 사망자들의 유족들은 이날 오후 8시께 장례식장 4층 특실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했다.
1천여명의 시민들이 모인 가운데 당초 오후 7시로 예정됐던 집회는 차벽으로 차도 진입을 차단한 경찰과 이에 항의하는 시민들이 실랑이를 벌이면서 7시 20분께 시작됐다.
경찰은 집회 시작 전부터 차도 진입 차단을 위해 현장 주변에 차벽을 쌓고 36개 중대 2천500명을 동원해 서울역과 한강대교로 이어지는 길을 모두 막았다.
경찰은 특히 오후 7시께부터는 횡단보도의 통행마저 막아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50여미터 가량 중앙선을 통해 이동하는 불편을 초래, 거센 항의를 받기도 했다.
집회는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작가 조세희 선생, 임태순 전국철거민연합 연대사업국장,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백남수 사무국장의 자유발언 등으로 1시간 남짓 진행됐다.
대책위측은 이날 집회에서 "경찰이 강경진압이 불러온 참사를 철거민들의 폭력 행위 탓으로 돌리고 있다"며 "철저한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정권 퇴진 운동도 불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책위는 예정된 행사를 끝내고 오후 8시 10분께 "경찰이 길을 모두 봉쇄해 거리 행진이 불가능하다"며 집회 종료를 선언했다.
그러나 참가자들은 경찰과의 물리적 충돌을 피해 지하철역을 통해 명동에 모여들어 집회를 이어갔다. 6백여명의 참가자들이 명동 롯데백화점 맞은 편 아바타몰 앞에서 경찰과 대치를 시작했으며 2백여명은 명동성당 앞 차도를 원천봉쇄한 경찰과 크고 작은 몸싸움을 벌였다.
경찰은 집회가 1시간을 넘어서자 오후 10시부터 두 차례 해산 및 검거방송을 하고 경찰기동대를 투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지만 전날과 달리 강제해산은 이뤄지지 않았다.
오후 11시께는 경찰이 40대 남성 1명을 연행했지만 시민들이 연행 차량을 둘러싸고 강하게 항의하자 풀어주기도 했다.
경찰은 연행 사유를 묻자 "술이 많이 취해 도와주려고 한 것일뿐 연행하려던 것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집회는 자정께 참가자들이 자진 해산하면서 별다른 충돌 없이 마무리됐다. 대책위는 22일에도 추모집회를 이어가며 23일에는 서울역 광장에서 대규모 범국민대최를 개최할 예정이다.
한편, 시신 인도를 요구하며 20일부터 순천향대병원 장례식장에서 대기하던 사망자들의 유족들은 이날 오후 8시께 장례식장 4층 특실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