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15%이상 득표정당에 선거비용 860억원 보전
신당 382억, 한나라당 348억원, 이회창 130억원 보전받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고현철)는 19일 지난 대선에서 유효투표 총수의 15% 이상을 득표한 대통합민주신당, 한나라당, 무소속 이회창 후보에 대해 각각 3백82억원, 3백48억원, 1백30억원 등 총 8백60억원의 선거 비용을 보전했다고 밝혔다.
선관위에 제출된 각 정당 및 무소속 후보들의 회계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대선에서 사용된 선거비용은 약 1천79억원으로 정당별로는 ▲대통합민주신당(정동영 후보) 4백억원 ▲한나라당(이명박 후보) 3백74억원 ▲무소속 이회창 후보 1백44억원으로 각각 나타났다.
선관위는 이 중 청구오류, 보전대상이 아닌 선거비용, 이중청구 등을 제외하고 보전액을 지급했다.
이를 각 정당(후보)측이 지난달 8일 선관위에 제출한 보전청구액과 비교할 경우, 신당은 97.3%, 한나라당은 93.4%, 이회창 후보는 91.5%에 각각 해당하는 금액을 받았다.
그 외 각 정당별 선거비용은 ▲창조한국당(문국현 후보) 75억원 ▲민주노동당(권영길 후보) 39억원 ▲민주당(이인제 후보) 12억원 ▲경제공화당(허경영 후보) 12억원 ▲새시대참사람연합(전관 후보) 4억원 ▲참주인연합(정근모 후보) 3억원 ▲한국사회당(금민 후보) 1억원으로 각각 나타났다.
중도 사퇴한 국민중심당(심대평 후보)은 9억원을, '화합과도약을위한국민연대'(이수성 후보)는 6억원을 각각 지출했다고 보고했다.
지난 1월8일 현재 각 정당의 총 재산은 2백85억여원이 적자로 집계된 가운데, 정당별로는 한나라당이 1백14억원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민주노동당(20억원), 민주당(8억원), 국민중심당(4억원) 순이었다.
반면 신당은 빚이 3백55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창조한국당(-47억원), 참주인연합(-10억원) 순이었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 역시 재산이 마이너스 1백63억원이라고 보고했다.
선관위는 회계보고서와 명세서 등을 면밀히 심사하고 대선기간 자체 수집한 자료 등을 토대로 현지실사를 벌여 고의누락, 허위신고, 부정지출, 증빙자료 누락.변조 등의 사례가 있는 지 여부를 집중 확인할 계획이다.
한편 중앙선관위 산하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는 이날 제2차 심의회의를 열어 특정 입후보예정자에 대해 홍보성 보도를 한 3개 인터넷언론사에 대해 경고 및 주의 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선관위에 제출된 각 정당 및 무소속 후보들의 회계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대선에서 사용된 선거비용은 약 1천79억원으로 정당별로는 ▲대통합민주신당(정동영 후보) 4백억원 ▲한나라당(이명박 후보) 3백74억원 ▲무소속 이회창 후보 1백44억원으로 각각 나타났다.
선관위는 이 중 청구오류, 보전대상이 아닌 선거비용, 이중청구 등을 제외하고 보전액을 지급했다.
이를 각 정당(후보)측이 지난달 8일 선관위에 제출한 보전청구액과 비교할 경우, 신당은 97.3%, 한나라당은 93.4%, 이회창 후보는 91.5%에 각각 해당하는 금액을 받았다.
그 외 각 정당별 선거비용은 ▲창조한국당(문국현 후보) 75억원 ▲민주노동당(권영길 후보) 39억원 ▲민주당(이인제 후보) 12억원 ▲경제공화당(허경영 후보) 12억원 ▲새시대참사람연합(전관 후보) 4억원 ▲참주인연합(정근모 후보) 3억원 ▲한국사회당(금민 후보) 1억원으로 각각 나타났다.
중도 사퇴한 국민중심당(심대평 후보)은 9억원을, '화합과도약을위한국민연대'(이수성 후보)는 6억원을 각각 지출했다고 보고했다.
지난 1월8일 현재 각 정당의 총 재산은 2백85억여원이 적자로 집계된 가운데, 정당별로는 한나라당이 1백14억원으로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민주노동당(20억원), 민주당(8억원), 국민중심당(4억원) 순이었다.
반면 신당은 빚이 3백55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창조한국당(-47억원), 참주인연합(-10억원) 순이었다. 무소속 이회창 후보 역시 재산이 마이너스 1백63억원이라고 보고했다.
선관위는 회계보고서와 명세서 등을 면밀히 심사하고 대선기간 자체 수집한 자료 등을 토대로 현지실사를 벌여 고의누락, 허위신고, 부정지출, 증빙자료 누락.변조 등의 사례가 있는 지 여부를 집중 확인할 계획이다.
한편 중앙선관위 산하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는 이날 제2차 심의회의를 열어 특정 입후보예정자에 대해 홍보성 보도를 한 3개 인터넷언론사에 대해 경고 및 주의 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