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중구청 "문화재청 지휘 받다가 초동진화 실패"

"소방당국도 불 잡힌 것으로 오판해 일부 소방력 철수시켜"

소방방재청에 이어 숭례문 관리책임을 맡고 있는 서울 중구청도 11일 문화재청 때문에 초동진화에 실패했다고 문화재청이 핵심 책임부서임을 강조하고 나섰다. 중구청은 아울러 소방당국도 초반에 불이 잡힌 것으로 오판, 일부 소방력을 철수시켰다는 새로운 사실도 지적하고 나섰다.

중구청은 이날 화재 당시 현장에 출동한 직원들의 증언을 토대로 작성한 내부 보고서를 통해 "소방당국이 화재진압 대상이 국보 1호라는 특수성 때문에 문화재청의 지휘를 받는 과정에서 의사결정이 지연돼 초기에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진화를 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소방당국이 문화재청의 지휘를 받는 과정에서 의사결정이 지연되는 바람에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지 못했다"면서 "화재발생 72분 후에야 직접 살수 방식의 진화작업이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0일 오후 8시 48분 화재가 발생한 뒤 8시 59분께 현장 진압을 하던 중부소방서 측이 문화재청에 진화 방법과 관련해 문의했으나 문화재청은 "국보 1호이므로 진화는 하되 문화재 손상이 최소화 되는 방향으로 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어 오후 9시 30분께 중구청 관계자가 `실측설계보고서'를 제공하면서 "주요 기둥에 불길이 침투하는 등 화재가 심하게 번짐에 따라 지붕 기와를 제거한 후 직접 살수방식의 강경진압이 불가피하다"고 수 차례 건의했으나 살수 방식의 화재진압 결정을 내려줄 문화재청 간부가 현장에 없어 공격적인 진압이 늦춰졌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그러다가 오후 9시 45분께 문화재청이 "화재진압을 최우선으로 해도 좋다"는 입장을 서울시 관계자를 통해 소방본부측에 전달했으며, 오후 10시께 화재 재발화로 사태가 악화되자 이 때서야 직접 살수방식으로 화재 진압방식이 변경되면서 화재 발생 후 72분만에 직접 살수가 이뤄졌다는 것. 간접진화는 지붕에만 물을 뿌리는데 비해 직접 살수는 기둥 등 건물 전체에 물이 스며들도록 진화하는 방식이다.

한편 보고서는 소방당국에 대해서도 "소방당국이 초기 간접진화 방식으로 어느 정도 성공한 것으로 잘못 판단함에 따라 일부 소방력이 철수하는 등 완전소화 작전을 소홀히 한 측면이 있다"고 소방당국 책임도 지적했다. 실제로 소방당국은 화재 발생 1시간 뒤인 10일 밤 10시께 불길을 잡았으며 잔불만 정리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중구청은 밤 8시이후 무인시스템에 의존하고 있는 데 대해서도 "숭례문이 국가 소유임에도 불구하고 관리를 맡고 있는 중구에 시설 보수비만 국비로 지원될 뿐 관리 비용은 중구에 완전히 떠맡기고 있다"고 "그동안 떠맡은 관리인 인건비만 2004년 8천100만원, 2005년 1억400만원 2006년 1억800만원으로 매년 늘어나고 있다"고 해명했다.
최병성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