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황교안, 5.18망언 김진태-김순례 징계하라"
황교안 당선 축하하면서도 '우경화'에 날선 견제
여야 정치권은 27일 자유한국당 신임대표에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당선된 것과 관련, 축하인사를 전하면서도 탄핵에 대한 분명한 입장 표명과 '5.18 망언' 의원 제명 등을 촉구하며 대립각을 세웠다.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오늘 황교안 자유한국당 신임 당대표와 지도부의 선출을 축하드린다"며 "새롭게 선출된 지도부와 함께 자유한국당이 대한민국의 건전하고 합리적 보수를 대변하는 정당으로 자리 잡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전당대회 기간 중 논란이 됐던 박근혜 전대통령 탄핵 부정 논란은 단순히 지지자의 표심을 얻기 위한 득표 활동으로 치부하기엔 국민에게 많은 상처를 주고 갈등을 초래했다"며 "황교안 신임 당대표와 지도부는 탄핵 찬반에 대한 국민 간 갈등이 다시는 재연되지 않도록 민주정당으로서 국민 통합에 힘써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는 아울러 "국민 통합의 첫 시작은 5.18 역사 왜곡으로 민주주의와 헌법을 부정한 김진태, 김순례 의원에 대한 징계를 마무리하는 것"이라며 "국민의 준엄한 요구에 걸맞은 단호한 조치가 신임 지도부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라며 전당대회를 이유로 징계를 유보한 김진태-김순례 의원에 대한 의원직 제명을 촉구했다.
바른미래당 김삼화 대변인도 "황교안 신임 당대표와 신임 지도부의 선출을 진심으로 축하드린다"면서도 "전당대회 과정에서 자유한국당 대표와 최고위원 후보들의 ‘퇴행적 언사’를 지켜본 국민은 여전히 불안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그러면서 "후보자들의 5.18망언과 탄핵 불복 발언은 자유한국당 ‘미래 없음’의 방증이었다"며 "새 지도부 출범으로 비대위 체제는 끝났지만, 자유한국당의 현실은 그 어느 때보다도 ‘비상 상황’이다. 황교안 대표는 혁신을 위한 ‘마중물’이 되어야지, ‘양잿물’이 되어선 안 된다"고 경고했다.
정의당 정호진 대변인은 "자유한국당 당원들의 선택을 존중하는 바이나 우려가 앞서는 만큼 쉽게 축하의 인사를 건네기가 어렵다"며 "황교안 신임 대표는 지난 박근혜 정권에서 벌어졌던 국정농단 사태에 대해 큰 책임 있는 인물이다. 실정법상의 처벌은 피했지만 정치적 책임은 결코 가볍지 않다. 이 모든 과오를 덮어두고 현실 정치로 뛰어든 것은 몰염치하다 할 수밖에 없다"고 질타했다.
그는 그러면서 "황 신임대표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 탄핵을 부정하는 것은 대한민국 헌정을 부정하는 것과 마찬가지인만큼 아직도 탄핵에 의구심을 가지고 있는지 분명히 말해야 할 것"이라며 "5.18민주화운동을 모독한 김진태, 김순례, 이종명 세 의원의 의원직 박탈에 관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압박했다.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오늘 황교안 자유한국당 신임 당대표와 지도부의 선출을 축하드린다"며 "새롭게 선출된 지도부와 함께 자유한국당이 대한민국의 건전하고 합리적 보수를 대변하는 정당으로 자리 잡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전당대회 기간 중 논란이 됐던 박근혜 전대통령 탄핵 부정 논란은 단순히 지지자의 표심을 얻기 위한 득표 활동으로 치부하기엔 국민에게 많은 상처를 주고 갈등을 초래했다"며 "황교안 신임 당대표와 지도부는 탄핵 찬반에 대한 국민 간 갈등이 다시는 재연되지 않도록 민주정당으로서 국민 통합에 힘써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는 아울러 "국민 통합의 첫 시작은 5.18 역사 왜곡으로 민주주의와 헌법을 부정한 김진태, 김순례 의원에 대한 징계를 마무리하는 것"이라며 "국민의 준엄한 요구에 걸맞은 단호한 조치가 신임 지도부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라며 전당대회를 이유로 징계를 유보한 김진태-김순례 의원에 대한 의원직 제명을 촉구했다.
바른미래당 김삼화 대변인도 "황교안 신임 당대표와 신임 지도부의 선출을 진심으로 축하드린다"면서도 "전당대회 과정에서 자유한국당 대표와 최고위원 후보들의 ‘퇴행적 언사’를 지켜본 국민은 여전히 불안하다"고 꼬집었다.
그는 그러면서 "후보자들의 5.18망언과 탄핵 불복 발언은 자유한국당 ‘미래 없음’의 방증이었다"며 "새 지도부 출범으로 비대위 체제는 끝났지만, 자유한국당의 현실은 그 어느 때보다도 ‘비상 상황’이다. 황교안 대표는 혁신을 위한 ‘마중물’이 되어야지, ‘양잿물’이 되어선 안 된다"고 경고했다.
정의당 정호진 대변인은 "자유한국당 당원들의 선택을 존중하는 바이나 우려가 앞서는 만큼 쉽게 축하의 인사를 건네기가 어렵다"며 "황교안 신임 대표는 지난 박근혜 정권에서 벌어졌던 국정농단 사태에 대해 큰 책임 있는 인물이다. 실정법상의 처벌은 피했지만 정치적 책임은 결코 가볍지 않다. 이 모든 과오를 덮어두고 현실 정치로 뛰어든 것은 몰염치하다 할 수밖에 없다"고 질타했다.
그는 그러면서 "황 신임대표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 탄핵을 부정하는 것은 대한민국 헌정을 부정하는 것과 마찬가지인만큼 아직도 탄핵에 의구심을 가지고 있는지 분명히 말해야 할 것"이라며 "5.18민주화운동을 모독한 김진태, 김순례, 이종명 세 의원의 의원직 박탈에 관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압박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