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사병의 인권과 복지 보장하겠다"
군 장병 가족 만나 "군복무 면탈자, 고위직 맡지 못하게 하겠다"
문재인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홍대 인근 카페에서 가진 ‘군 장병 부모·애인들과의 대화’에서 “‘국방부 시계는 거꾸로 매달아도 간다’는 말을 들었을 것이다. 옛날에는 군대가 그랬다. 복지나 인권이 없고 그저 몸으로 때우는 게 군 생활이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참석자 중 한 분이)자식이 군대에 간 게 섭섭했다고 하시는데 사실은 언제까지 자식을 품에만 품고 살 수 없고 사회생활을 적응시킬 수 있도록 단련해야 하는데 군대가 좋은 기회”라면서 국가인권위 내에 군인권 보호관 제도 등의 신설을 통해 인권 사각지대를 없애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그는 “과거에 군대는 흙수저만 가고 금수저는 빠지는 게 있었는데 병역 의무도 공평하게 하고 만약 누군가의 반칙과 특권으로 군복무를 면탈하는 사람이 있다면 고위 공직도 맡을 수 없게끔 확실하게 하겠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와 함께 “복무 기간 동안 다쳤거나 세월이 지난 후에 과거 군 복무 기간이 (병의) 원인이었다고 밝혀지면 국가가 끝까지 책임져야 한다”며 “이런 보훈이 안보의 출발이다. 6.25 참전자들에 대한 수당, 월남전·고엽제 전우회 보상 등 이런 것들은 김대중-노무현 때부터 시작했다. 그 땐 보훈처장도 장관급으로 격상했는데 이명박 정부에서 차관급으로 다시 격하시켰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