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쌍용차 고공농성, 171일만에 해제

한상균-복기성 건강악화로 중단키로

지난해 11월 20일부터 쌍용차 정리해고에 관한 국정조사와 해고자 복직 등을 요구하며 쌍용차 평택공장 인근 송전탑에 올라 농성을 벌여온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간부 2명이 9일 농성을 풀기로 했다.

금속노조 쌍용차지부는 "한상균(52) 전 지부장과 복기성(37) 비정규직 수석부지회장 등 두 동지의 건강이 극도로 악화해 어제 긴급 지부회의를 열어 철탑농성을 마무리하기로 결정했다"며 "두 동지도 지부 결정에 따르기로 했다"고 8일 밝혔다.

김득중 쌍용차지부 수석부지부장은 "어제 의료진이 철탑에 올라가 진료했는데 복기성 동지의 경우 고혈압, 위출혈, 허리통증으로 며칠째 몸을 가누지도 못할 만큼 안 좋고 한상균 동지도 건강이 좋지 않다"고 전했다.

이들은 건강상의 문제로 철탑 농성을 마무리하지만 쌍용차지부와 함께 새로운 방식으로 투쟁을 계속 이어갈 계획이다.

이들이 철탑 농성을 풀고 내려오는 9일은 농성을 시작한 지 171일째 되는 날이다.

이들은 9일 오전 11시 농성장에서 기자회견을 연 뒤 병원으로 옮겨져 건강진단을 받을 예정이다.

이들과 함께 철탑 농성을 시작한 쌍용차지부 문기주(54) 정비지회장은 건강 악화에 따라 더는 농성을 할 수 없다는 의료진의 권유에 따라 농성 116일째인 지난 3월 15일 철탑에서 내려왔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댓글이 2 개 있습니다.

  • 0 0
    hwmedia

    북한의 나쁜 행동에는 보상을 하지 않는다는 원칙과 같이, 나쁜 투쟁방식에는 절대로 굴복해서는 안됩니다. 나쁜 선례가 되니까요. 노조는 정상적인 방법으로 투쟁을 하여야 합니;다.

  • 2 0
    지나감

    사회를 변화시키려는 운동 방식도 이제 '변화'되어야. 낡은 방식의 진보주의자, 지도자들의 고정관념이 사람들을 마치 전투병처럼 살게 만드는 듯. 저런 희생을 막기위해 정치가 있는 것인데 거꾸로 저런 희생을 바탕으로 힘을 모으려는 정치가 있는 듯하고 그것은 부패한 우파정치 못지않게 나쁜 정치라고 생각함.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