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승부수', 하도급 1만명 정규직 전환
유통업계는 물론, 자동차 등 타산업 부문에도 거센 압박
이마트는 이날 전국 146개 매장에서 하도급 업체 소속으로 상품 진열을 전담해 온 하도급 직원 1만여명을 다음달 1일부터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난달 28일 고용노동부가 이마트 판매 도급사원들을 불법 파견으로 규정하고 이를 직접 고용하도록 지시한 직후 나온 조치여서, 최근 부동노동행위, 정용진 부회장 국회 불출석 등으로 전방위 수사를 받고 있는 신세계 그룹이 박근혜 정부 조치에 적극 호응하겠다는 메시지를 던진 것으로 풀이된다.
이마트에 따르면, 정규직 전환으로 하도급 직원들은 기존에 받지 못했던 상여금과 성과급도 정규직과 똑같이 받아 소득수준이 27% 가량 높아지고 학자금 지원, 의료비 지원 등 정규직에 주어지는 복지혜택도 누릴 수 있다. 이마트는 이번 결정으로 연간 600억원 이상의 추가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정규직 전환 인력 중 40~50대 여성이 절반인 47%에 달해 주부들의 고용이 안정되는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고 이마트는 덧붙였다.
이마트의 이번 조치로 하도급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다른 대형마트 등 유통업체는 물론, 비정규직 전환 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는 현대자동차 등 다른 산업부문에도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압박이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취임사를 통해 "임기 내 반드시 비정규직 문제가 해결되도록 최대한 힘쓰겠다"고 밝힌 바 있어, 재계의 향후 대응이 주목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