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조선> 잇따라 '참여연대 위기론'
후원회에 대기업 발길 '뚝', 각종 소송에 경제난 가중
참여연대 위기론이 확산되고 있다. 보수-진보 언론 모두에서 잇따라 위기론을 제기하고 나서면서 더욱 그러하다.
참여연대는 지난 8일 참여연대 14주년 후원의 밤 행사를 가졌다.
11일 <조선일보>에 따르면, 삼성·현대자동차·SK 등 지난해까지만 해도 참여연대에 후원금을 납부했던 대기업들이 올해에는 법인 명의로는 단 한 건도 후원금을 내지 않았다.
한 대기업 임원은 "원래부터 참여연대의 활동을 지지한 건 아니었고, 올해 들어 분위기도 크게 달라졌는데 후원금 낼 상황이 아니다"라며, "각 계열사 임원이 개인 차원에서 참여하는 것은 몰라도 법인 명의로 후원금은 내지 않도록 했다"고 말했다.
지난 8일 오후 서울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열린 참여연대 14주년 후원의 밤 행사를 앞두고 참여연대는 기업들에 초청장을 보내 건당 500만원 한도의 후원금을 내 달라고 요청했지만 3~4개 대기업 계열사 관계자만 참석했다. 그나마 법인이 아닌 개인명의로 후원금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8일 <한겨레>가 '참여연대 위기'를 정면으로 다뤘다.
<한겨레>에 따르면, 참여연대는 지난 여름 미국산 쇠고기 반대 촛불집회의 중심에 있었고, 그로 인해 상당한 고통을 감내해야 하는 상황이다. 우선, 핵심활동가인 박원석 협동사무처장은 두달이 넘는 장기 수배 상태에 놓여 활동을 제대로 할 수 없는 형편이고, 안진걸 민생희망팀장은 구속되기도 했다. 창립 14년 만에 처음으로 압수수색도 당했다.
경제적인 압박은 더 매섭다. 광화문 일대 상인들이 지난 7월 ‘촛불 시위로 영업 피해를 봤다’며, 광우병 국민대책회의와 참여연대 등을 상대로 37억6천만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냈다. 이후 서울경찰청은 시위 장비 파손 등의 책임을 물어 3억3천800만원 짜리 소송을 더했고, 서울시는 시청 앞 광장을 허가 없이 사용했다며 1천200만원대의 변상금을, 종로구청은 집회 이후 발생한 쓰레기 처리 비용을 청구했다.
여기에 최근 금리 상승으로 서울 종로구 통의동 건물 신축과정에서 진 빚(13여억원)에 대한 이자부담도 크게 늘었다. 참여연대는 한해 예산 13여억원 가운데 11~12억원 정도를 회원들의 회비 등으로 충당하고, 모자라는 금액은 매년 ‘후원의 밤’ 을 열어 충당해왔다. 참여연대 관계자는 “지난해에는 후원의 밤을 통해 1억5천여만원을 모을 수 있었지만 올해는 모금액에 절반에도 못 미친다”고 말했다.
위기의 원인을 내부에서 찾는 시각도 있다. ‘ 활동성과가 적잖지만, 대중과의 소통을 소홀히 한 결과’란 지적이다. 참여연대는 그동안 소액주주운동, 예산감시운동, 낙선운동 등 특히 권력감시 활동에서 상당한 성과들을 일궈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시민 없는 시민단체’란 일부의 지적처럼 ‘대중의 삶에 밀착된 문제에 대한 관심은 다소 소홀했다’는 평도 동시에 받았다. 회원 수는 지난 2001년 1만4596명으로 최고점을 찍었다가 지금은 1만명 안팎으로 줄었다고 <한겨레>는 전했다.
<한겨레>가 위기론을 제기하자 참여연대는 즉각 '지금은 위기가 아니라 새로운 기회'라는 반박 글 성격의 공지를 했다.
참여연대는 "2008년은 참여연대로서는 여러 모로 잊지 못할 해가 될 것 같다"며 "14년 활동 처음으로 활동가가 구속 수배되는 상황과 수 십억원 대의 민사소송 등이 참여연대 등을 상대로 진행되고 있다"며 <한겨레>가 제기한 어려움을 인정했다.
참여연대는 그러나 이어 "참여연대가 겪는 고난이 커져가는만큼, 동시에 더 많은 시민의 사랑을 확인하는 해"라며 "몇년간 답보상태에 있던 회원도 늘어가는 추세"라고 반박했다.
참여연대는 "오늘 한겨레신문의 '참여연대가 창립14돌 맞아 내우외환'을 겪고 있다는 기사로 많은 시민과 회원들께서 걱정을 해주신다"며 "하지만 참여연대는 걱정하지 않는다. 창립14년이 되는 올해, 2008년은 참여연대의 존재 이유가 더욱 빛을 발하게 될 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참여연대는 당면한 어려움을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으나, 시민사회단체 일각에서는 최근 검찰의 환경운동연합 압수수색에서 볼 수 있듯 참여연대에 대한 압박도 강화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뉴라이트전국연합이 모 유력단체의 횡령 의혹 제보자료를 경찰에 제출하겠다고 밝히는 등, 진보성향의 사회시민단체들을 겨냥한 보수진영의 압박 공세는 나날이 강도를 더해가는 양상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참여연대는 지난 8일 참여연대 14주년 후원의 밤 행사를 가졌다.
11일 <조선일보>에 따르면, 삼성·현대자동차·SK 등 지난해까지만 해도 참여연대에 후원금을 납부했던 대기업들이 올해에는 법인 명의로는 단 한 건도 후원금을 내지 않았다.
한 대기업 임원은 "원래부터 참여연대의 활동을 지지한 건 아니었고, 올해 들어 분위기도 크게 달라졌는데 후원금 낼 상황이 아니다"라며, "각 계열사 임원이 개인 차원에서 참여하는 것은 몰라도 법인 명의로 후원금은 내지 않도록 했다"고 말했다.
지난 8일 오후 서울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열린 참여연대 14주년 후원의 밤 행사를 앞두고 참여연대는 기업들에 초청장을 보내 건당 500만원 한도의 후원금을 내 달라고 요청했지만 3~4개 대기업 계열사 관계자만 참석했다. 그나마 법인이 아닌 개인명의로 후원금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8일 <한겨레>가 '참여연대 위기'를 정면으로 다뤘다.
<한겨레>에 따르면, 참여연대는 지난 여름 미국산 쇠고기 반대 촛불집회의 중심에 있었고, 그로 인해 상당한 고통을 감내해야 하는 상황이다. 우선, 핵심활동가인 박원석 협동사무처장은 두달이 넘는 장기 수배 상태에 놓여 활동을 제대로 할 수 없는 형편이고, 안진걸 민생희망팀장은 구속되기도 했다. 창립 14년 만에 처음으로 압수수색도 당했다.
경제적인 압박은 더 매섭다. 광화문 일대 상인들이 지난 7월 ‘촛불 시위로 영업 피해를 봤다’며, 광우병 국민대책회의와 참여연대 등을 상대로 37억6천만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냈다. 이후 서울경찰청은 시위 장비 파손 등의 책임을 물어 3억3천800만원 짜리 소송을 더했고, 서울시는 시청 앞 광장을 허가 없이 사용했다며 1천200만원대의 변상금을, 종로구청은 집회 이후 발생한 쓰레기 처리 비용을 청구했다.
여기에 최근 금리 상승으로 서울 종로구 통의동 건물 신축과정에서 진 빚(13여억원)에 대한 이자부담도 크게 늘었다. 참여연대는 한해 예산 13여억원 가운데 11~12억원 정도를 회원들의 회비 등으로 충당하고, 모자라는 금액은 매년 ‘후원의 밤’ 을 열어 충당해왔다. 참여연대 관계자는 “지난해에는 후원의 밤을 통해 1억5천여만원을 모을 수 있었지만 올해는 모금액에 절반에도 못 미친다”고 말했다.
위기의 원인을 내부에서 찾는 시각도 있다. ‘ 활동성과가 적잖지만, 대중과의 소통을 소홀히 한 결과’란 지적이다. 참여연대는 그동안 소액주주운동, 예산감시운동, 낙선운동 등 특히 권력감시 활동에서 상당한 성과들을 일궈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시민 없는 시민단체’란 일부의 지적처럼 ‘대중의 삶에 밀착된 문제에 대한 관심은 다소 소홀했다’는 평도 동시에 받았다. 회원 수는 지난 2001년 1만4596명으로 최고점을 찍었다가 지금은 1만명 안팎으로 줄었다고 <한겨레>는 전했다.
<한겨레>가 위기론을 제기하자 참여연대는 즉각 '지금은 위기가 아니라 새로운 기회'라는 반박 글 성격의 공지를 했다.
참여연대는 "2008년은 참여연대로서는 여러 모로 잊지 못할 해가 될 것 같다"며 "14년 활동 처음으로 활동가가 구속 수배되는 상황과 수 십억원 대의 민사소송 등이 참여연대 등을 상대로 진행되고 있다"며 <한겨레>가 제기한 어려움을 인정했다.
참여연대는 그러나 이어 "참여연대가 겪는 고난이 커져가는만큼, 동시에 더 많은 시민의 사랑을 확인하는 해"라며 "몇년간 답보상태에 있던 회원도 늘어가는 추세"라고 반박했다.
참여연대는 "오늘 한겨레신문의 '참여연대가 창립14돌 맞아 내우외환'을 겪고 있다는 기사로 많은 시민과 회원들께서 걱정을 해주신다"며 "하지만 참여연대는 걱정하지 않는다. 창립14년이 되는 올해, 2008년은 참여연대의 존재 이유가 더욱 빛을 발하게 될 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참여연대는 당면한 어려움을 정면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으나, 시민사회단체 일각에서는 최근 검찰의 환경운동연합 압수수색에서 볼 수 있듯 참여연대에 대한 압박도 강화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뉴라이트전국연합이 모 유력단체의 횡령 의혹 제보자료를 경찰에 제출하겠다고 밝히는 등, 진보성향의 사회시민단체들을 겨냥한 보수진영의 압박 공세는 나날이 강도를 더해가는 양상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