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시민단체들 "국민 모두를 전과자로 만들 셈이냐"

<현장> 대책회의-민가협, 촛불수배자 해제 등 요구

이명박 정부가 최근 공안사범 및 촛불 수배자 검거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데 대해 시민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가 지난 15년 동안 열어온 탑골공원 앞 목요집회에는 광우병국민대책회의, 민주노총, 나눔문화, 촛불 수배자 가족 등이 대거 참여해 신공안탄압 조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넘쳐났다. 이들은 촛불 강경진압을 주도해온 어청수 경찰청장 퇴진 및 조계사에서 농성중인 촛불 수배자 해제를 촉구했다.

이영 민가협 대표는 "국민을 짓밟고 오직 이명박 정권의 시녀 노릇을 하는 경찰청장은 필요없다"며 "양심수를 석방하고 어청수를 감옥으로 보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봉희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사노련 사건과 관련, "공안탄압의 칼날은 비정규직노동자들에게도 미치고 있다"며 "사노련 사건과 관련해 긴급체포한 오민규 전 전국비정규연대회의 집행위원장은 오로지 소외와 억압 속에 있는 비정규 노동자들을 옹호하는 활동을 하고 촛불집회에 참여한 죄 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경찰은 79일째 단식농성을 하며 촛불처럼 꺼질듯한 생명을 유지하고 있는 기륭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에게 체포영장을 발부했다"며 "공안탄압을 막는 데 민주노총이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조계사에서 농성중인 한용진 광우병국민대책회의 공동 상황실장의 부인 황정주(39)씨는 "촛불집회 참가자들은 물론, 심지어 진보학자마저 구속하는 공안정국을 조성하고 있다"며 "더 많은 시민들이 촛불과 함께해야 이에 맞서 싸울 수 있다"며 동참을 호소했다.

임태훈 광우병국민대책회의 인권의료법률지원팀장은 "이명박 정부에 의한 구속자가 점점 늘어가고 있다"며 "오는 9월 열리는 유엔인권이사회에서 한국의 공안탄압에 대해 알려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책회의에 따르면 현재 촛불집회에 참석해 구속된 시민은 1백45명, 체포영장이 발부된 시민은 1천5백42명에 달하며 수배자는 22명이다.

광우병국민대책회의와 민가협이 28일 종로 탑골공원에서 공안탄압 중단을 촉구하는 집회를 가졌다.ⓒ최병성 기자
최병성 기자

댓글이 2 개 있습니다.

  • 11 28
    80년대구나

    신공안정국으로 돌아가네/
    어떻게 이룬 민주화인데 한순간에 물거품이 되나? 참 투표 지지리도 못햇다. 국민들이 재앙이 닥치면 알까? 냄비근성이라 그래도 모를까?

  • 12 29
    대안

    요덕으로 보내주지
    지상천국 아니냐?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