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미 "한국당, 죽음 외주화의 공범 아닌 확신범"
"한국당 의원들, 산업안전보건법에 '이러다 나라 망한다' 망언"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24일 "자유한국당 의원 일부는 “이러다가 나라 망한다”고 하는 망언까지 하면서 법안 처리를 반대하고 있다"며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에 반대하는 한국당을 질타했다.
이정미 대표는 이날 상무위회의에서 "자유한국당의 반대로 12월 안에 김용균법을 처리하지 못할 위기에 놓였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나라가 망한다’는 게 무엇인지를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지난 5년간 산재로 사망한 하청노동자가 1천 426명, 3인 이상이 사망한 산재 사고에서 희생자의 85%는 하청노동자였다. 화력발전소 사망 사고의 97%는 하청업무에서 발생했고, 산재 사망자의 92%가 하청노동자였다"면서 "힘들고 위험한 일을 가난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떠넘기고, 그 노동자들 목숨을 파리 취급하는 차별의 공화국이 된 것이다. 죽음마저 차별하는 이 불평등을 그대로 둔다면, 이 나라는 진짜 망국으로 가게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한국당이 지난 60년간 기업 편들기만 하면서, 20년간 비정규직을 마구잡이로 늘린 결과가 오늘 김용균의 죽음"이라며 "한국당이 뒤늦은 법안처리마저 막는다면, 한국당은 죽음의 외주화의 공범 아니라 확신범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정미 대표는 이날 상무위회의에서 "자유한국당의 반대로 12월 안에 김용균법을 처리하지 못할 위기에 놓였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나라가 망한다’는 게 무엇인지를 되묻지 않을 수 없다. 지난 5년간 산재로 사망한 하청노동자가 1천 426명, 3인 이상이 사망한 산재 사고에서 희생자의 85%는 하청노동자였다. 화력발전소 사망 사고의 97%는 하청업무에서 발생했고, 산재 사망자의 92%가 하청노동자였다"면서 "힘들고 위험한 일을 가난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떠넘기고, 그 노동자들 목숨을 파리 취급하는 차별의 공화국이 된 것이다. 죽음마저 차별하는 이 불평등을 그대로 둔다면, 이 나라는 진짜 망국으로 가게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한국당이 지난 60년간 기업 편들기만 하면서, 20년간 비정규직을 마구잡이로 늘린 결과가 오늘 김용균의 죽음"이라며 "한국당이 뒤늦은 법안처리마저 막는다면, 한국당은 죽음의 외주화의 공범 아니라 확신범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