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5명 죽게 만든 현대제철, 특별근로감독해야"

민주당 "현대제철, 최소한의 안전수칙도 무시"

민주통합당은 13일 아르곤 가스 유출로 5명의 노동자가 사망한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사고와 관련, 고용노동부의 특별근로감독을 촉구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인 민주당 우원식, 장하나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제철은 노동자들을 사지에 내몰고도 아르곤 가스 누출 가능성 미공지, 안전장비 미지급 등 최소한의 안전수칙을 무시했다"고 주장했다.

두 의원이 지난 11일 당진종합병원을 방문해 유족과 현장노동자들, 현대제철 부사장 등을 면담한 결과 현대제철측은 아르곤 가스 누출과 관련한 안전교육을 제대로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20년 가까이 일한 노동자들은 사고가 발생한 전로 작업 중 아르곤 가스가 누출된다는 사실을 전혀 몰랐고, 이때문에 사고 발생 후 신고자는 전기감전으로 인한 사고로 신고하기도 했다.

통상 12일이 걸리는 보수작업 일정을 최근 6일로 무리하게 단축시킨 현대제철의 작업 지시도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사고로 사망한 하청업체 한국내화 노동자들은 평상시에는 3교대로 근무했지만, 전로 보수작업 기간에는 현대제철측의 보수작업 단축 요구로 2교대, 24시간 작업을 진행했다.

아르곤 가스 배관을 설치하는 하청업체인 신화 역시 10일로 예정된 전로 시운전에 맞춰 보수작업이 끝나기도 전에 배관을 연결했다.

장 의원은 "하청업체인 신화는 원청인 현대제철의 지시가 없이는 작업을 절대로 진행할 수 없다"며 "10일부터 전로를 다시 가동하기 위해 현대제철이 가스배관 작업을 서둘러 지시한 것이다 현대제철이 직접 관리하는 가스 배관 메일 벨브의 자물쇠가 사고 당시 열려있었다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사고 발생후 유가족들의 공장 내 분향소 설치 요구를 거부하고, 합동분향소에서도 뒤늦게 나타난 현대제철의 사건 처리 태도도 집중 질타를 받았다.

우 의원은 "현장노동자들 사이에선 '죽음의 조'라는 고강도 노동을 하면서도 최저임금에도 미치미 소하는 임금을 받다 이런 사고를 당했는데도 회사는 최소한의 인도적 요구마저 거부하고 있다"며 "우리 사회 을들, 아니 병이나 정들이 최소한의 인간적 대우도 받지 못하는 시살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사고"라고 비판했다.

장 의원은 "현대제철 사업장에는 사고를 당한 노동자들 뿐만 아니라 50개 업체, 3천여명의 노동자들이 비슷한 환경에서 일하고 있다"며 "고용노동부는 즉각 현대제철으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해 관련 책임자를 처벌하고 보상문제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에 적극 임해야 한다"며 '기업살인법' 도입을 촉구했다. '기업살인법'은 기업의 규정 위반으로 노동자가 사망할 경우, 살인죄를 적용해 처벌하는 제도로 영국과 호주, 캐나다 등에서 도입하고 있다.
최병성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