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촉탁직 노동자, 해고 석달후 자살
정의당 "용도 끝나면 가차없이 버려지는 극한의 현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사내도급업체에서 촉탁직으로 전환해 근무하다 해고된 비정규직 노동자 공모씨(29)가 계약해지 석달만인 지난 14일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공씨는 현대차 사내도급업체 신명기업 소속으로 현대차에서 근무하던 중 지난 해 7월 촉탁계약직으로 전환됐다. 현대차측이 불법파견으로 일한지 2년이 되면 직접고용 의무가 생기는 개정파견법을 피하기 위해 직접고용한 노동자 중 1명이었다.
그러나 공씨는 올해 1월 촉탁계약직 전환 6개월만에 사내하청 경력과 촉탁계약직 경력이 2년이 되자 계약기간 만료를 이유로 계약해지됐다.
현대차에는 공씨처럼 사내하청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다 단기계약직인 촉탁직으로 전환된 노동자가 1천400여명에 달한다.
이정미 진보정의당 대변인은 16일 논평을 통해 "이번 사건은 우리 사회의 노동 현실이 어느 정도까지 추락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며 "기업의 부속품처럼 소모되다, 용도가 끝났다고 판단되면 가차없이 버려지는 극한의 현실 속에서 노동자들은 최소한의 존엄조차 지킬 수 없게 되어 버렸다"고 사측을 비판했다.
이 대변인은 "이런 와중에 또 다른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6개월째 철탑 위에서 생존을 걸고 ‘사람다운 삶’을 목놓아 외치고 있다"며 "박근혜 대통령은 하루빨리 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몰고 가는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문제 해결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공씨는 현대차 사내도급업체 신명기업 소속으로 현대차에서 근무하던 중 지난 해 7월 촉탁계약직으로 전환됐다. 현대차측이 불법파견으로 일한지 2년이 되면 직접고용 의무가 생기는 개정파견법을 피하기 위해 직접고용한 노동자 중 1명이었다.
그러나 공씨는 올해 1월 촉탁계약직 전환 6개월만에 사내하청 경력과 촉탁계약직 경력이 2년이 되자 계약기간 만료를 이유로 계약해지됐다.
현대차에는 공씨처럼 사내하청에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다 단기계약직인 촉탁직으로 전환된 노동자가 1천400여명에 달한다.
이정미 진보정의당 대변인은 16일 논평을 통해 "이번 사건은 우리 사회의 노동 현실이 어느 정도까지 추락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며 "기업의 부속품처럼 소모되다, 용도가 끝났다고 판단되면 가차없이 버려지는 극한의 현실 속에서 노동자들은 최소한의 존엄조차 지킬 수 없게 되어 버렸다"고 사측을 비판했다.
이 대변인은 "이런 와중에 또 다른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6개월째 철탑 위에서 생존을 걸고 ‘사람다운 삶’을 목놓아 외치고 있다"며 "박근혜 대통령은 하루빨리 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몰고 가는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문제 해결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