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전 간부 "경영진 차원에서 직원사찰 진행"
"97년부터 지속적으로 이뤄지다 2004년 이후 강화"
이마트 직원들에 대한 불법사찰이 경영진의 지시에 따른 것이라는 내부 증언이 나왔다.
이마트에서 인사담당으로 근무했던 한 간부는 8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익명 인터뷰에서 직원 불법사찰과 관련, "그와 유사한 상황들이 많이 발생했다"며 "'1130'이라고 하는데 하루에 한 명씩 30분간 면담을 해서 동향을 파악하고 인사 파트장에게 매월 말일날 전달하면 문제사원을 그 지역 지역문화팀 사원들이 집중관리했다"고 말했다.
그는 사찰 주체로 "기업문화팀은 본사 소속의 각 지역별로 담당 파견되어있는 사원들로 구성되어 있고, 본사 소속 노조활동이나 이런 사항들을 감시하는 부서"라며 기업문화팀을 지목한 뒤, "파트장, 팀장들이 면담을 작성해 가장 문제되는 사원들은 전부 감시대상이라고 보면 된다"고 밝혔다.
그는 '문제사원'에 대해선 "면담을 하다 보면 노조에 대한 내용이나 회사에 불만을 갖는 사원들이 1차 대사잉 됐다'며 "그 다음에 조금 더 수준이 높아지거나 아니면 같이 뭉치는 자리가 많아질 경우엔 집중관리 대상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집중관리대상이 되면 주변인물들과 친해질 수 없도록 원거리발령을 내거나, 개인면담을 계속해서 권고사직을 권하든지 퇴직금을 더 줄 테니 나가라는 식으로 얘기가 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사찰 시기에 대해선 "97년부터 계속 이뤄져왔고, 본격적으로 좀 더 강화된 것은 '수지' 사건 이후로 보면 될 것 같다"며 "복수노조가 생기기 한 달 전에는 파트장, 팀장급에서 일주일 동안 관련 대응방안을 계획해 왔다"고 밝혔다.
'수지'사건이란 지난 2004년 신세계 이마트 최초로 경기도 용인 수지점에서 노조가 설립된 것을 일컫는 것. 당시 이마트는 최옥화 분회장을 비롯해 4명의 직원들을 노조 활동을 이유로 해고했고 이들은 그후 지노위, 중노위를 거쳐 1심 판결에서 복직 판결을 받아냈다.
그는 '직원들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는 사측의 해명에 대해선 "절대로 그렇지 않다"며 "윗선에서 지시가 없으면 직장생활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하기가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영방침이라고 매년 초, 중간간부 교육때도 해당 문건들이 공가가 돼고 수시로 이런 건에 대해 어떻게 할까라는 지침이 내려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마트에서 인사담당으로 근무했던 한 간부는 8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익명 인터뷰에서 직원 불법사찰과 관련, "그와 유사한 상황들이 많이 발생했다"며 "'1130'이라고 하는데 하루에 한 명씩 30분간 면담을 해서 동향을 파악하고 인사 파트장에게 매월 말일날 전달하면 문제사원을 그 지역 지역문화팀 사원들이 집중관리했다"고 말했다.
그는 사찰 주체로 "기업문화팀은 본사 소속의 각 지역별로 담당 파견되어있는 사원들로 구성되어 있고, 본사 소속 노조활동이나 이런 사항들을 감시하는 부서"라며 기업문화팀을 지목한 뒤, "파트장, 팀장들이 면담을 작성해 가장 문제되는 사원들은 전부 감시대상이라고 보면 된다"고 밝혔다.
그는 '문제사원'에 대해선 "면담을 하다 보면 노조에 대한 내용이나 회사에 불만을 갖는 사원들이 1차 대사잉 됐다'며 "그 다음에 조금 더 수준이 높아지거나 아니면 같이 뭉치는 자리가 많아질 경우엔 집중관리 대상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집중관리대상이 되면 주변인물들과 친해질 수 없도록 원거리발령을 내거나, 개인면담을 계속해서 권고사직을 권하든지 퇴직금을 더 줄 테니 나가라는 식으로 얘기가 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사찰 시기에 대해선 "97년부터 계속 이뤄져왔고, 본격적으로 좀 더 강화된 것은 '수지' 사건 이후로 보면 될 것 같다"며 "복수노조가 생기기 한 달 전에는 파트장, 팀장급에서 일주일 동안 관련 대응방안을 계획해 왔다"고 밝혔다.
'수지'사건이란 지난 2004년 신세계 이마트 최초로 경기도 용인 수지점에서 노조가 설립된 것을 일컫는 것. 당시 이마트는 최옥화 분회장을 비롯해 4명의 직원들을 노조 활동을 이유로 해고했고 이들은 그후 지노위, 중노위를 거쳐 1심 판결에서 복직 판결을 받아냈다.
그는 '직원들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는 사측의 해명에 대해선 "절대로 그렇지 않다"며 "윗선에서 지시가 없으면 직장생활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하기가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영방침이라고 매년 초, 중간간부 교육때도 해당 문건들이 공가가 돼고 수시로 이런 건에 대해 어떻게 할까라는 지침이 내려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