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근로시간 단축에 재계 반발? 관행 안돼"
경총 반발 "심각한 부작용 초래할 것"
청와대는 5일 이명박 대통령의 대기업 근로시간 단축과 이채필 고용노동부 장관의 '주 52시간 근로에 휴일근무 포함' 발언 후 재계가 집단 반발하고 있는 것과 관련, "왜 그런 반응이 나오는지 이해하지만 예전의 관행으로 가면 안 된다는 기본인식은 같다고 보고 있다"고 강행 의지를 분명히 했다.
노연홍 고용복지수석은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현실정책으로 나타날 때 어떤 반응을 보일지 예상된다. 설득할 건 설득하고 이해시킬 건 이해시키고, 정책적으로 인센티브 줄 것은 주고 서로 양보하면서 도움이 되는 쪽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기업 입장에선 인력 관리의 어려움을, 근로자는 봉급이 떨어질 것을 우려할 것"이라며 "어떻게 순조롭게 개선할지가 포인트"라고 덧붙였다.
앞서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대기업의 근로시간을 단축해 일자리를 나누는 좋은 일자리 만들기는 적극 검토해서 본격적으로 추진하라"며 "근로시간을 단축하면 삶의 질이 향상되고 일자리가 늘 뿐 아니라 소비도 촉진되는 등 사회 전반적으로 선순환이 될 것"이라고 근로시간 단축을 요구했다.
이채필 고용노동부 장관도 이날자 <서울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현행 근로기준법상 연장근로 한도(주 12시간)에도 불구하고 사업장에서 휴일근로를 통해 법정 근로시간을 자의적으로 연장시키는 나쁜 관행이 계속되고 있다"며 "앞으로 근로기준법을 개정해 휴일근로를 연장근로에 포함시켜 장기 근로에 따른 각종 폐해를 근본적으로 시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국경영자총연합회는 "노동시장에 충격을 주는 급격한 조치를 통해 근로시간을 인위적으로 단축하려는 것은 노사정 합의정신에도 부합하지 않을뿐더러 결국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뿐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반발했다.
노연홍 고용복지수석은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현실정책으로 나타날 때 어떤 반응을 보일지 예상된다. 설득할 건 설득하고 이해시킬 건 이해시키고, 정책적으로 인센티브 줄 것은 주고 서로 양보하면서 도움이 되는 쪽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기업 입장에선 인력 관리의 어려움을, 근로자는 봉급이 떨어질 것을 우려할 것"이라며 "어떻게 순조롭게 개선할지가 포인트"라고 덧붙였다.
앞서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대기업의 근로시간을 단축해 일자리를 나누는 좋은 일자리 만들기는 적극 검토해서 본격적으로 추진하라"며 "근로시간을 단축하면 삶의 질이 향상되고 일자리가 늘 뿐 아니라 소비도 촉진되는 등 사회 전반적으로 선순환이 될 것"이라고 근로시간 단축을 요구했다.
이채필 고용노동부 장관도 이날자 <서울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현행 근로기준법상 연장근로 한도(주 12시간)에도 불구하고 사업장에서 휴일근로를 통해 법정 근로시간을 자의적으로 연장시키는 나쁜 관행이 계속되고 있다"며 "앞으로 근로기준법을 개정해 휴일근로를 연장근로에 포함시켜 장기 근로에 따른 각종 폐해를 근본적으로 시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국경영자총연합회는 "노동시장에 충격을 주는 급격한 조치를 통해 근로시간을 인위적으로 단축하려는 것은 노사정 합의정신에도 부합하지 않을뿐더러 결국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뿐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반발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