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노조, 천안함 취재진도 전원 철수
김재철 사장 "민형사상 책임 묻겠다", 공권력 투입 시사
비상대책위원회는 16일 오후 "'천암한 사건 보도'에 한해 인정했던 파업동참 예외 인원은 19일 6시부로 파업현장에 복귀한다"는 지침을 내렸다.
이에 따라 천안함 참사를 취재해온 47명의 조합원(보도 36명, 기술 5명, 영상미술 6명)도 내주 초부터 모두 취재를 중단, MBC 보도기능은 완전 마비될 전망이다.
이에 맞서 김재철 사장도 이날 오후 노조에 보낸 공문에서 "조합의 파업은 명백한 불법 파업임을 알린다. 불법 파업으로 인한 모든 행위는 관계 법령 및 사규의 보호를 받을 수 없다"며 "회사는 불법 파업 주도자와 파업 참가자에 대해 민형사상 책임을 묻는 것은 물론, 사규에 따라 엄중 문책할 방침"이라며 공권력 투입을 시사했다.
노조의 출근 저지로 회사에 나오지 못하고 있는 김 사장은 오는 19일 오전 본사로 출근을 시도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노조는 김 사장의 출근 시도가 공권력 투입을 위한 명분쌓기로 해석하며 반드시 저지하겠다는 입장이어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MBC간부급들의 노조파업 지지 릴레이성명에 이어 이날도 PD협회 등 MBC직능단체들의 파업지지 성명이 나왔다.
PD협회, 기술인협회, 카메라감독협회, 아나운서협회, 기자회, 미술인협회, 보도영상협의회, 경영인협회 등으로 구성된 직능단체연합은 성명을 통해 이번 사태의 책임 소재와 관련, "일차적으로 김재철 사장에게 있다고 판단한다"며 "사장이 스스로 공언했던 약속들이 계속해서 지켜지지 않으면서 구성원들이 사장의 진정성을 믿을 수 없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김 사장에게 황희만 부사장 임명 철회, 김우룡 전 방문진이사장 고소 등을 촉구하며, 특히 공권력 투입설과 관련 "사측이 성급하게 노동조합과 조합원에 대한 강경책들을 행사하지 않기를 바란다. 조급함에 내놓는 섣부른 대책이 파국을 부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