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참여연대 출신, 盧정권 공직 진출 급증

158개 자리 차지, 뉴라이트-참여연대 격돌 예고

오는 13일 출범 12년을 맞는 참여연대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는 전직 임원 4백16명 가운데 36.1%에 달하는 1백50여명이 김영삼 정부이래 현 정권에 이르기까지 청와대를 비롯해 정부 고위직, 정부 부처 산하 각종 위원회, 독립기구 등 3백13개의 공직에 진출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3백13개 자리 중 대통령 소속이 1백21개(38.7%)로 가장 많았고, 국무총리 소속 35개(11.2%), 정부 부처 소속 88개(28.1%), 독립기구 42개(13.4%), 입법부 소속 12개(3.8%), 지방정부 소속 10개(3.2%), 사법부 소속 5개(1.6%) 순이었다.

유석춘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팀은 참여연대 창립후 12년간 참여연대의 공동대표, 감사, 사무처장, 정책위원, 운영위원, 집행위원 등으로 활동했던 임원 5백13명 중 현재 직업이 확인된 4백16명의 인사들의 이력을 추적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펴낸 <참여연대 보고서>를 통해 밝혔다.

<참여연대 보고서>는 자유시장경제를 주창하는 친기업 성향의 자유기업원에서 출간됐으며, 유 교수는 현재 보수진영인 ‘뉴라이트 전국연합’의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이상호 X파일 사건과 관련, 삼성그룹 등 관련자들 고발 방침을 밝히고 있는 김기식 참여연대 사무총장(오른쪽). 연합뉴스


정부 참여 현황을 정권별로 따져보면, 김영삼 정부 시기에 22개였던 것이 김대중 정부 들어 1백13개로 큰 폭으로 증가했고 노무현 정부에서는 1백58개로 더 많아졌다. 이는 YS정권때 정치적 영향력이 더 컸던 경실련이 김현철-박경석 파문에 휘말리면서 상처를 입은 뒤, 지난 10여년간 참여연대가 시민사회단체의 주도적 세력으로 정부와 관계를 맺어온 결과로 분석된다.

참여연대가 배출한 대표적인 정부 부처 인사로는 한명숙 국무총리(1999년 참여연대 공동대표), 김명곤 문화관광부 장관(97년~98년 참여연대 자문위원), 김대환 전 노동부 장관(참여연대 전 운영위원ㆍ정책위원장 역임), 윤덕홍 전 교육부총리(참여연대 전 자문위원), 김성재 전 문화부 장관(참여연대 전 운영위원 역임), 김영호 전 산업자원부 장관(참여연대 전 고문ㆍ자문위원 역임) 등이 대표적이다.

이백만 대통령홍보수석비서관도 참여연대 운영위원을 역임한 바 있고, 권오승 공정거래위원장 또한 참여연대 자문위원을 지냈다.

참여연대 공동대표를 역임한 바 있는 김창국 변호사는 국가인권위원회 초대위원장을 지냈고 최영도 전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 역시 임명 직전까지 참여연대 공동대표를 역임했다. 참여연대 사무처장과 운영위원장을 맡았던 손혁재 성공회대 교수는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제3심의위원장,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위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민간위원, 지방이양추진위원회 위원 등을 거쳐갔다.

'뉴라이트' 진영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참여연대의 정치적 중립성 문제에 대한 대대적 공세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향후 참여연대와 보수진영간 격돌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동현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