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한국노총, 노동자 권리 팔아먹은 모리배"
"정부는 재벌 등을 대변한 정파집단으로 전락"
민주노총은 4일 노사정 합의를 맹비난하며 철회를 촉구했다.
민노총은 이날 성명을 내고 2년6개월간 복수노조 허용을 유예한 데 대해 "조항을 사실상 사문화하려는 의도로, 정부와 사용자는 전체 노동자의 90%에 달하는 비정규직과 중소 영세 노동자의 단결권을 제한하려 한다"며 복수노조 즉각 도입을 주장했다.
민노총은 유럽식 타임오프제를 도입키로 한 데 대해서도 "전임자 임금 지급을 금지하려는 편법"이라며 "특히 노조활동가의 유급 활동 시간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한 것은 노사자치라는 헌법상의 원칙과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민노총은 또 "타임오프제가 시행되면 유급 활동 내용과 소요 시간을 두고 분쟁이 늘어 교섭과 협약 체결을 지연시키고 노사관계를 악화시킬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노총은 결론적으로 "야당과 민주노총을 배제한 채 합의가 이뤄져 상식에 어긋난다"며 "정부는 재벌 등 사용자만을 대리한 일개 정파집단으로, 한국노총 지도부는 수천만 노동자의 권리를 팔아먹은 모리배로 전락했다"고 원색적으로비난했다.
민노총은 이날 성명을 내고 2년6개월간 복수노조 허용을 유예한 데 대해 "조항을 사실상 사문화하려는 의도로, 정부와 사용자는 전체 노동자의 90%에 달하는 비정규직과 중소 영세 노동자의 단결권을 제한하려 한다"며 복수노조 즉각 도입을 주장했다.
민노총은 유럽식 타임오프제를 도입키로 한 데 대해서도 "전임자 임금 지급을 금지하려는 편법"이라며 "특히 노조활동가의 유급 활동 시간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한 것은 노사자치라는 헌법상의 원칙과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민노총은 또 "타임오프제가 시행되면 유급 활동 내용과 소요 시간을 두고 분쟁이 늘어 교섭과 협약 체결을 지연시키고 노사관계를 악화시킬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노총은 결론적으로 "야당과 민주노총을 배제한 채 합의가 이뤄져 상식에 어긋난다"며 "정부는 재벌 등 사용자만을 대리한 일개 정파집단으로, 한국노총 지도부는 수천만 노동자의 권리를 팔아먹은 모리배로 전락했다"고 원색적으로비난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