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사측, '공권력 투입' 요청
사측 "회사 청산할 수도", 정부도 청산 적극 검토
박영태 법정관리인은 이날 오전 10시 평택공장에서 긴급기자회견을 갖고 "노조의 전향적인 인식 변화가 없으면 더 이상 추가 협상은 없다"며 "사태 해결을 위한 노조의 인식 변화가 없다면 현 사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처리될 수밖에 없다"며 사실상 공권력 투입을 요청했다.
박 관리인은 이어 "회사는 불법 점거파업에 대해 할 수 있는 모든 조치는 다했다"며 "공권력 투입 시기는 정부 당국의 몫이라고 본다"며 거듭 공권력 투입을 주문했다.
그는 “불법, 탈법적인 노조의 폭력과 점거 파업에 대한 엄정한 법 집행이 이뤄지지 못한다면 이제는 관리인의 판단에 따라 청산을 전제로 한 회생계획안을 신청하는 것 외에는 그 어떤 대안도 있을 수 없다는 점도 밝힌다”며 "청산을 전제로 한 회생 계획안은 M&A(인수합병)를 전제로 한 것이 아니고 기본적으로 회사를 정리하는 수순의 하나로 볼 수 있다"며 회사 청산을 강력 경고하기도 했다.
그는 "자동차 회사로서 유지 발전하려면 외부 투자자 유치가 불가피한데, 1,600명 이상의 잉여인력과 기존의 노사관계 악습을 답습하고 폭력적 행위도 서슴지 않는 강성 노조가 존재하는 기업에 누가 투자하려 하겠느냐"라며 노조를 맹비난하기도 했다.
이처럼 사측이 협상결렬을 선언한 뒤 공권력 투입을 요청함에 따라, 공장 안에 노조의 볼트 새총 등을 막기 위한 그물망과 보호막 준비를 완료한 경찰은 빠르면 3일 공장 진입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정부 일각에서는 더이상 노사협상을 통한 쌍용차 문제 해결이 어려우며 공권력 강제 투입시 인명 피해가 우려된다는 점에서, 쌍용차를 청산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져 쌍용차 사태는 파국으로 치닫는 양상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