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시민모임도 “김병준 사퇴하라”
"도덕성 시비로 일말의 개혁성마저 상실했다”
함께하는교육시민모임도 29일 성명을 통해 “수구세력과 언론의 집중 포화로 도덕성 시비에 휘말리면서 입지가 위축된 교육부총리는 그나마 일말의 개혁 가능성마저 상실했다”며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이들은 “김병준 교육부총리는 교육의 평등성, 공공성을 실현할 수 있는 교육철학과 신념도 없고, 노무현 정권의 신자유주의적 정책 기조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한계를 가지고 있어 교육부총리로서 적합하지 않다”며 “스스로 사퇴하든지, 정권 차원에서 강제 사퇴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미궁에 빠진 교육개혁을 처음부터 새로 출발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고 경쟁과 시장 논리에 입각한 인사가 아닌 상생과 공공성 원리에 바탕을 둔 진보적인 개혁성을 잠지한 인사를 발탁해야한다”고 거듭 김 부총리의 사퇴아 조속한 개혁인사 인선을 촉구했다.
앞선 28일에도 민주화를 위한 교수협의회(민교협), 전국교수노조 등도 퇴진 성명을 낸 바 있어 김병준 교육부총리는 완전 고립무원 상태다.
이들은 “김병준 교육부총리는 교육의 평등성, 공공성을 실현할 수 있는 교육철학과 신념도 없고, 노무현 정권의 신자유주의적 정책 기조로부터 자유롭지 않은 한계를 가지고 있어 교육부총리로서 적합하지 않다”며 “스스로 사퇴하든지, 정권 차원에서 강제 사퇴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미궁에 빠진 교육개혁을 처음부터 새로 출발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고 경쟁과 시장 논리에 입각한 인사가 아닌 상생과 공공성 원리에 바탕을 둔 진보적인 개혁성을 잠지한 인사를 발탁해야한다”고 거듭 김 부총리의 사퇴아 조속한 개혁인사 인선을 촉구했다.
앞선 28일에도 민주화를 위한 교수협의회(민교협), 전국교수노조 등도 퇴진 성명을 낸 바 있어 김병준 교육부총리는 완전 고립무원 상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