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년 민주화운동이래 이런 대규모 모임 처음"
<현장> 115개 대학교수 2446명, '대운하반대 전국모임' 출범
이명박 정부의 ‘한반도 대운하를 반대하는 전국교수모임’(교수모임)이 전국 1백15개 대학, 2천4백46명의 교수가 참여한 가운데 25일 공식출범했다.
“87년 민주화 이후 이 정도 대규모 모임은 처음”
교수모임은 서울대 교수모임이 주축이 된 운하연구교수단을 비롯해 학술단체협의회, 민교협, 교수노조, 각 전문분야별 학회가 통합해 기존 학계에서 찾아보기 힘든 대규모 전국조직을 갖췄다.
나간채 전남대 교수 양운진 경남대 교수, 이정전 서울대 교수가 상임공동대표를 맡았고 공동대표단, 집행위원회, 법률자문단 등 상임 조직 체제를 갖췄다.
또 교통.경제.토목.지역개발.수질.주민사회.문화역사.환경생태.언론.법률 등 8개 연구분야로 세분화된 운하연구교수단을 꾸렸다.
교수모임은 이날 오전 서울 언론재단 19층 기자회견장에서 가진 출범기자회견을 통해 “한반도 대운하는 어떤 차원에서도 타당성을 찾을 수 없는 시대착오적인 사업”이라고 거듭 강조하며 향후 사업 철회를 위한 조직적인 대정부 대응에 나설 것임을 천명했다.
교수모임은 창립취지문을 통해 “전국 115개 대학의 2400여명의 교수들은 1987년 민주화 운동 이후 처음으로 역사적인 소명의식을 안고 이 자리에 섰다”며 “민주화가 급속히 진전한 사회에서 대운하라는 사업이 비정상적인 논리와 정치적인 목적으로 추진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교수모임 “학자들이 직접 연구해 국민들과 공유”
교수모임은 “그동안 대운하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양심적인 학자들의 연구결과와 반대 서명은 ‘비전공자들의 무지한 주장’으로 치부되어왔다”며 “이에 전국 2천4백여명의 교수들은 운하 문제를 직접 연구, 조사해 그 결과를 일반 국민들과 함께 공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교수모임은 “대운하 사업은 어떤한 정치적 의도나 특정부문의 이해관계가 개입돼 추진여부와 타당성 평가가 왜곡돼서는 안된다”며 “이에 우리는 오로지 우리 국토공간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국가경쟁력 제고, 각종 재해나 식수 문제부터 안전이라는 관점에서 대운하 사업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수모임은 이날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향후 조직별 서명활동과 연구활동, 토론회, 세미나, 홍보활동 등 연구 및 대국민 홍보전을 진행해나가고 대운하 찬성 측에 공개토론회도 지속적으로 제안할 예정이다.
교수모임은 또 한반도 대운하를 반대하는 시민단체, 법률전문가들과 연대 활동을 강화하는 동시에 국제 네트워크를 통해 대운하의 문제점을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조중래 교수 “경부운하는 현재도 미래도 화물수송기능 담담 못해”
한편, 조중래 명지대 교수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발제를 통해 대운하 물동량의 허구성과 홍수 발생의 위험성을 지적했다.
조 교수는 ‘한반도 대운하 물동량 분석’ 부문 발표에서 “경부운하를 이용한 수도권-부산 컨테이너 수송은 50시간으로 도로의 약 7배, 철도의 약 4~5배에 해당하며, 우리 경제가 2~3배 성장해도 제조업의 산업입지는 경부운하권역 외부로 이동해 물동량은 증가하지 않을 것”이라며 “결국 경부운하는 앞으로도 화물수송기능을 담당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결국 철도수송비용과 운하수송비용은 거의 같은 수준이 될 것인 반면, 수송시간은 4~5배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경제적 측면에서도 철도수송이 운하수송에 비해 훨씬 유리하며 기술적 측면에서도 더 환경적”이라며 “정부는 운하건설보다는 철도운송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 및 사업개발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87년 민주화 이후 이 정도 대규모 모임은 처음”
교수모임은 서울대 교수모임이 주축이 된 운하연구교수단을 비롯해 학술단체협의회, 민교협, 교수노조, 각 전문분야별 학회가 통합해 기존 학계에서 찾아보기 힘든 대규모 전국조직을 갖췄다.
나간채 전남대 교수 양운진 경남대 교수, 이정전 서울대 교수가 상임공동대표를 맡았고 공동대표단, 집행위원회, 법률자문단 등 상임 조직 체제를 갖췄다.
또 교통.경제.토목.지역개발.수질.주민사회.문화역사.환경생태.언론.법률 등 8개 연구분야로 세분화된 운하연구교수단을 꾸렸다.
교수모임은 이날 오전 서울 언론재단 19층 기자회견장에서 가진 출범기자회견을 통해 “한반도 대운하는 어떤 차원에서도 타당성을 찾을 수 없는 시대착오적인 사업”이라고 거듭 강조하며 향후 사업 철회를 위한 조직적인 대정부 대응에 나설 것임을 천명했다.
교수모임은 창립취지문을 통해 “전국 115개 대학의 2400여명의 교수들은 1987년 민주화 운동 이후 처음으로 역사적인 소명의식을 안고 이 자리에 섰다”며 “민주화가 급속히 진전한 사회에서 대운하라는 사업이 비정상적인 논리와 정치적인 목적으로 추진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교수모임 “학자들이 직접 연구해 국민들과 공유”
교수모임은 “그동안 대운하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양심적인 학자들의 연구결과와 반대 서명은 ‘비전공자들의 무지한 주장’으로 치부되어왔다”며 “이에 전국 2천4백여명의 교수들은 운하 문제를 직접 연구, 조사해 그 결과를 일반 국민들과 함께 공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교수모임은 “대운하 사업은 어떤한 정치적 의도나 특정부문의 이해관계가 개입돼 추진여부와 타당성 평가가 왜곡돼서는 안된다”며 “이에 우리는 오로지 우리 국토공간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국가경쟁력 제고, 각종 재해나 식수 문제부터 안전이라는 관점에서 대운하 사업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수모임은 이날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향후 조직별 서명활동과 연구활동, 토론회, 세미나, 홍보활동 등 연구 및 대국민 홍보전을 진행해나가고 대운하 찬성 측에 공개토론회도 지속적으로 제안할 예정이다.
교수모임은 또 한반도 대운하를 반대하는 시민단체, 법률전문가들과 연대 활동을 강화하는 동시에 국제 네트워크를 통해 대운하의 문제점을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조중래 교수 “경부운하는 현재도 미래도 화물수송기능 담담 못해”
한편, 조중래 명지대 교수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발제를 통해 대운하 물동량의 허구성과 홍수 발생의 위험성을 지적했다.
조 교수는 ‘한반도 대운하 물동량 분석’ 부문 발표에서 “경부운하를 이용한 수도권-부산 컨테이너 수송은 50시간으로 도로의 약 7배, 철도의 약 4~5배에 해당하며, 우리 경제가 2~3배 성장해도 제조업의 산업입지는 경부운하권역 외부로 이동해 물동량은 증가하지 않을 것”이라며 “결국 경부운하는 앞으로도 화물수송기능을 담당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결국 철도수송비용과 운하수송비용은 거의 같은 수준이 될 것인 반면, 수송시간은 4~5배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경제적 측면에서도 철도수송이 운하수송에 비해 훨씬 유리하며 기술적 측면에서도 더 환경적”이라며 “정부는 운하건설보다는 철도운송체계 개선을 위한 정책 및 사업개발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