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확산세 꺾지 못하면 3단계 상향조정밖에"
"수도권 곳곳 감염돼 거리두기 2단계 효과 제한적"
윤태호 반장은 이날 오후 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 "여전히 수도권의 환자가 전체의 76%를 차지하고 있고,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유행의 확산세가 반전되지 못하는 위중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이는 지금까지와는 비교할 수 없는 큰 사회·경제적 피해를 남기게 되는데 지금이 이를 막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인 만큼 거리두기 노력에 최선을 기울여 달라"고 촉구했다.
그는 "수도권의 지역사회 감염이 곳곳에 산재함에 따라 지난 11월24일부터 실시한 거리두기 2단계 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보인다"면서 "지난 주말 수도권의 휴대폰 이동량은 직전 주에 비해 오히려 0.6%포인트 증가하는 등 이동량 감소 역시 정체되는 양상"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손영래 중수본 전략기획반장은 3단계 격상에 대한 질문이 잇따르자 "3단계는 사회활동의 전면제한이라는 거리두기 최종 단계인 만큼 어마어마하게 큰 사회적 영향을 끼치게 되고 많은 영세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피해를 야기하는 전면 제한조치가 함께 동반된다"고 진화에 나섰다.
그는 "3단계 격상을 선제적으로 검토하기에는 사회적 피해가 워낙 막대해 기준치를 관찰하면서 판단할 부분들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현재 수도권 2.5단계 체계에서도 큰 사회적 피해가 발생하는 만큼 국민과 정부가 합심해서 2단계에서 환자 증가 추이를 반전시키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3단계 사회적 거리두기는 하루 평균 800~1천명 정도의 환자가 발생할 때 취하는 조치로, 음식점을 비롯한 장례식장 등 필수시설만 제한적으로 운영되며 나머지는 모두 집합금지 명령이 내려진다. 또한 10인 이상 모임·행사가 금지되며 학교 전면 원격수업 전환, 프로스포츠 경기 중단, 1인 영상 외 종교활동 모임 금지 조치가 이뤄진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