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민간인 인명피해, 지난해 후반기 급증
부시, 이라크 정부에 수니파-바트당 정치참여 허용 촉구할 듯
지난해 이라크에서 발생한 민간인 희생자는 모두 2만2천9백50명이었으며 이중 4분의 3이 후반기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종파간 분쟁으로 인명피해가 갈수록 심각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라크 민간인 인명피해 갈수록 악화
<워싱턴포스트>는 7일(현지시간) 이라크 보건부의 통계 자료를 인용, 지난해 전반기에 발생한 이라크 민간인 사망자는 5천6백40명이었던 데 반해 후반기에 발생한 민간인 인명피해는 이보다 3배가량 많은 1만7천3백10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특히 지난 해 2월 발생한 시아파 사원에 대한 폭탄 테러 이후 인명피해가 급증했다며, 당시 사건이 종파간 폭력 사태를 악화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신문은 이번 자료를 공개한 이라크 보건부 관리가 지난해 인명피해가 최종집계된 것이 아니라고 말해 민간이 피해 규모는 더욱 늘어날 가능성을 시사했다. 실제로 유엔은 지난해 10월까지 이라크 민간이 인명피해 규모가 2만8천여 명에 이른다고 발표했으며 이에 대해 이라크 정부는 "잘못된 집계"라며 강한 불만을 나타내기도 했다.
그러나 이라크 정부 스스로 인명피해 규모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카심 야화 이라크 보건부 대변인 “보건부는 관련 수치를 제공하지 않는다”면서도 “나 자신도 수치를 모른다”고 말해 이 같은 지적을 인정했다.
새 이라크 정책, 수니파-바트당 정치 참여 포함
한편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오는 10일 새로운 이라크 정책을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으며 이들 정책에는 별역 증강과 함께 수니파 및 바트당 포용 정책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는 이날 미국 고위 관리의 말을 인용, 부시 대통령이 제시할 새 이라크 정책은 이라크 지도자들에게 종파간 분쟁 완화는 물론, 정치 경제적으로 나라를 안정시키도록 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이라크 정책에 포함될 내용에는 조기 지방선거를 실시해 이라크 정부로 현재보다 많은 수니파와 바트당 당원을 정치적 활동에 끌어들이는 한편, 오랫동안 지연돼온 석규법안 통과를 통해 석유 판매로부터 얻어지는 수익에 대한 배분 문제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번 정책에는 이라크에 미군을 추가 파병하는 방안을 것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 향후 2~3년 동안 새로운 이라크 정책을 지속적인 유지해 나갈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번 발표에는 이라크 정부가 미국 정부의 이 같은 요구 조건들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라도 이라크 정부에 어떤 대가가 취해 질 것인지에 대해서는 포함돼 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은 그러나 부시대통령의 이 같은 새로운 이라크 정책에 대해 분명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나섰다.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부시 대통령에게 공개서한을 보내 파병 증가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혔으며 하원 원내 대표인 헤리 리드 의원도 동참했다.
펠로시 의장은 전날 미 CB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만약 부시 대통령이 파병 증가를 원한다면 먼저 타당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또 “이전까지 공화당이 부시대통령에게 백지 수표를 줬겠지만 더 이상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며 파병 반대를 위해 실력행사에 나설 수 있음을 강조했다.
이라크 민간인 인명피해 갈수록 악화
<워싱턴포스트>는 7일(현지시간) 이라크 보건부의 통계 자료를 인용, 지난해 전반기에 발생한 이라크 민간인 사망자는 5천6백40명이었던 데 반해 후반기에 발생한 민간인 인명피해는 이보다 3배가량 많은 1만7천3백10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특히 지난 해 2월 발생한 시아파 사원에 대한 폭탄 테러 이후 인명피해가 급증했다며, 당시 사건이 종파간 폭력 사태를 악화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신문은 이번 자료를 공개한 이라크 보건부 관리가 지난해 인명피해가 최종집계된 것이 아니라고 말해 민간이 피해 규모는 더욱 늘어날 가능성을 시사했다. 실제로 유엔은 지난해 10월까지 이라크 민간이 인명피해 규모가 2만8천여 명에 이른다고 발표했으며 이에 대해 이라크 정부는 "잘못된 집계"라며 강한 불만을 나타내기도 했다.
그러나 이라크 정부 스스로 인명피해 규모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카심 야화 이라크 보건부 대변인 “보건부는 관련 수치를 제공하지 않는다”면서도 “나 자신도 수치를 모른다”고 말해 이 같은 지적을 인정했다.
새 이라크 정책, 수니파-바트당 정치 참여 포함
한편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오는 10일 새로운 이라크 정책을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으며 이들 정책에는 별역 증강과 함께 수니파 및 바트당 포용 정책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는 이날 미국 고위 관리의 말을 인용, 부시 대통령이 제시할 새 이라크 정책은 이라크 지도자들에게 종파간 분쟁 완화는 물론, 정치 경제적으로 나라를 안정시키도록 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이라크 정책에 포함될 내용에는 조기 지방선거를 실시해 이라크 정부로 현재보다 많은 수니파와 바트당 당원을 정치적 활동에 끌어들이는 한편, 오랫동안 지연돼온 석규법안 통과를 통해 석유 판매로부터 얻어지는 수익에 대한 배분 문제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번 정책에는 이라크에 미군을 추가 파병하는 방안을 것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쟁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 향후 2~3년 동안 새로운 이라크 정책을 지속적인 유지해 나갈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번 발표에는 이라크 정부가 미국 정부의 이 같은 요구 조건들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라도 이라크 정부에 어떤 대가가 취해 질 것인지에 대해서는 포함돼 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은 그러나 부시대통령의 이 같은 새로운 이라크 정책에 대해 분명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나섰다.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부시 대통령에게 공개서한을 보내 파병 증가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혔으며 하원 원내 대표인 헤리 리드 의원도 동참했다.
펠로시 의장은 전날 미 CB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만약 부시 대통령이 파병 증가를 원한다면 먼저 타당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또 “이전까지 공화당이 부시대통령에게 백지 수표를 줬겠지만 더 이상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며 파병 반대를 위해 실력행사에 나설 수 있음을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