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하투' 확산, 건설노조도 27일부터 총파업 돌입
민주노총-금속노총도 총파업 계획
건설노조는 이날 오전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파업 돌입을 선언하며 "이번 총파업은 건설노동자 노동자성 문제, 산재보험 인정, 체불 문제 해결 등을 정부에 요구하기 위한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건설노조는 "건설노조가 요구하는 것은 그야말로 생존권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요구로 정부는 건설노동자들의 정당한 요구를 수용해야 한다"며 "건설노동자의 요구안이 받아들여 질 때까지 화물연대 동지들과 총파업을 함께 해 나갈 것"이라며 연대 파업투쟁을 선언했다.
건설노조는 현재 정부에게 특수고용노동자 노동기본권 쟁취 등 18개 요구를 제시한 상태다. 특히 건설현장 임금체불의 경우 2007년 949억원에서 2011년에는 1천660억원으로 증가할 정도로 건설 장기화에 따른 피해가 심각하다.
건설노조는 또한 노동현장에서 가장 높은 산재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지만 특수고용직으로 분류돼 산재보험이 적용되지 않는만큼 특수고용노동자에 대해서도 산재보험을 적용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추락, 붕괴 등에 따른 산재성 사망자는 577명으로, 노동자수가 3배에 달하는 제조업 산재사망자 387명에 비해 사망사고율이 제조업에 비해 430%에 달하고 있다.
건설노조는 27일 총파업 돌입 이후 28일 2만 9천여명의 조합원이 상경해 서울에서 파업출정식을 열고 본격적인 투쟁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한편 민주노총도 28일 3만명의 파업조합원이 상경해 국회 앞에서 8월 총파업을 앞두고 비정규직.정리해고 철폐, 노동법 재개정 요구안을 선포하는 대국회 경고파업에 나선다. 민주노총은 이어 오는 8월 28일 전 조합원 총파업도 준비 중이다.
금속노총 역시 주간연속 2교대제 도입, 비정규직.정리해고.노동악법 철폐 등의 요구안을 갖고 7월 13일과 20일 이틀에 걸쳐, 현대차, 기아차, 한국GM 등 완성차 원하청 노조가 총파업을 예고했다. 금속노조는 이들 기업지부 교섭이 지연될 경우 8월부터 전 조합원이 투쟁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