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각 보호공 안한 다리들 즐비, '제2의 왜관철교 붕괴' 우려
낙동강 22개, 한강 9개 등, 장맛비에 다리 안전 위태
1일 <한겨레>가 입수한 국토해양부의 ‘4대강 사업 교량 보호공 설치 현황’ 자료에 따르면, 국토부는 당초 4대강 사업으로 본류·지천 131개 다리의 다릿발(교각) 보강 공사를 할 계획이다.
하지만 장마철이 시작된 6월 말까지 보강 공사를 끝내기로 계획한 다리는 △낙동강 68개 중 46개(67.6%) △한강 28개 중 19개(67.9%) △금강 19개 △영산강 16개 다리 등 모두 100개에 불과하다.
계획대로 공사가 진행됐다고 해도, 낙동강 22개 다리와 한강 9개 다리는 교각 보호공이 설치되지 않은 것이다.
현재 4대강에서 준설은 목표량(4억5000만㎥)의 94%가량이 끝난 상태다.
박재현 인제대 교수(토목공학)는 “준설로 강 가운데를 파헤치면 주변 구조물도 무너져내리는 침식이 올 수 있다”며 “준설을 하기 전에 교각에 보호공부터 설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붕괴된 왜관철교에서 보듯, 보호공 설치 대상 다릿발 수를 애초 계획보다 축소한 곳도 있다. 왜관철교 인근 4대강 공구 시공업체인 대우건설은 왜관철교의 8개 다릿발을 보강하기로 했다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의 승인을 받아 4개만 보강했다.
이성해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정책총괄 팀장은 “교각 보호공 공사를 먼저 하면 상류에서 토사가 밀려올 수 있기 때문에 교각 보호공 설치는 준설이 완료된 시점에서 마지막 설계 단면이 나와야 가능하다”고 말했다.
붕괴된 왜관철교 주변에서 대규모 준설을 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교량·제방의 일정 범위 안에서는 골재 채취를 금지한 골재채취법을 위반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일고 있다. 대하천(계획 홍수량 50000㎥/초 이상)의 경우 교량 300m 안에서는 골재 채취를 못하게 돼 있다. 박창근 관동대 교수(토목공학)는 “4대강 준설 공사는 다리의 일정 구간 안에서 골재를 채취하지 못하게 한 법규를 무시한 공사”라고 지적했다고 <힌겨레>는 전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