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과학벨트, 세토막 낸다"
이주호 교과부장관이 '대전-대구-광주' 삼각벨트안을 靑에 보고
이같은 쪼개기는 대다수 과학자들이 강력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이대로 강행될 경우 충청권의 강력 반발은 말할 것도 없고 또다시 표를 의식한 포퓰리즘 논란에 휩싸이면서 정부 신뢰가 완전 붕괴될 것이 명약관화하기 때문이다.
<동아일보>는 7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대전·대구·광주 세 곳으로 쪼개 사실상 ‘삼각벨트’로 만드는 방안이 청와대에 보고된 것으로 6일 확인됐다"며 "과학벨트의 핵심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을 세 지역으로 나누는 방안"이라고 단독 보도했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삼각벨트’안은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이 직접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최근 교과부는 이러한 ‘삼각벨트’안에 대해 1차 검토를 마치고 청와대에 보고했다.
삼각벨트안에 따르면, 기초과학연구원은 대전 KA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 3개 과학기술 중심대학으로 분산 배치될 전망이다. 과학벨트의 중요 실험시설인 중이온가속기는 별도 분리돼 기초과학연구원 본부(헤드쿼터)와 함께 새로운 지역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 경우 본부의 위치는 대전·충남지역이 유력하다.
과학계의 한 관계자는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을 한 지역에 건설한다는 당초 계획이 최근 변경됐다”면서 “KAIST, DGIST, GIST에 각각 건물을 짓고 기초과학연구원의 연구 기능을 분산하는 안이 최우선으로 검토되고 있다”고 밝혔다. 중이온가속기는 기초 물리학 연구, 신소재 개발 등에 쓰이는 희귀 동위원소를 만드는 실험시설이다.
이 관계자는 “기초과학연구원이 대전 대구 광주로 분산되면 지리적 여건이나 기존 연구환경을 고려했을 때 본부는 대전·충남지역에 들어서는 게 가장 적합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 당국자는 “3개 도시로의 분산으로 볼 게 아니라 3개 거점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삼각권역’을 형성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 당국자는 “중이온가속기와 본부가 대전에 설치되면 대전·충청권은 그동안 정부에 요구하던 내용의 거의 대부분을 얻게 되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교과부는 7일 이 장관 주재로 제1차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를 열고 과학벨트 입지 선정 문제 등을 논의한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이번에 마련한 (삼각벨트) 방안을 놓고 충분히 논의해 6월 초에 과학벨트의 입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동아>는 "정부안대로 세 군데로 쪼개 놓으면 탈락한 지방자치단체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또 기초과학연구원 분산을 반대하는 과학계에서도 반발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며 "청와대 내에서도 연구원 분산에 대한 반대 의견이 나오고 있어 향후 위원회의 논의 방향이 주목된다"고 보도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