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3월 고용 '환란후 최악', 청년실업 8.8%

실질실업자 110만명 돌파, 인턴제 확대에도 실업대란 확산

3월 취업자 수가 19만5천명이나 줄어들며 환란후 최악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3월 취업자는 2천311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9만5천명(0.8%) 감소했다. 취업자 수가 이처럼 급감한 것은 1999년 3월(-39만명)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취업자 수 증감폭은 지난해 10월 9만7천명, 11월 7만8천명으로 10만명을 밑돌더니 12월 -1만2천명을 기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선 이래 1월 -10만3천명, 2월 -14만2천명 등으로 나날이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

취업자 수가 급감하면서 고용률도 57.9%로 작년 동월 대비 1.2% 포인트나 급락했다.

실업률은 마침내 4.0%로 올라서며 전년 동월대비 0.6%포인트 높아졌고 총 실업자 숫자는 95만2천명으로 늘어났다.

여기에다가 구직단념자 17만1천명까지 합하면 실제 실업자 숫자는 11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 구직단념자 숫자는 전년동기대비 7만1천명(70.5%)이나 급증했다.

특히 청년실업률은 전년동기 대비 1.2%포인트 높아진 8.8%를 기록, 정부의 인턴제 확대 등에도 불구하고 청년실업이 사상최악의 위기상황으로 치닫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연령대별 취업자 수를 봐도 15∼19세(-3만7천명), 20~29세(-16만2천명), 30∼39세(-19만7천명), 40~49세(-2만8천명) 등은 감소세, 50∼59세(19만9천명), 60세 이상(3만1천명)은 증가세를 보여, 20~30대 실업이 가장 심각한 상태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작년 동월에 비해 27만6천명(3.1%) 늘어났지만 임시근로자는 8만3천명(-1.6 %), 일용근로자는 11만2천명(-5.4%)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비정규직이 불황의 최대 희생자가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3월의 고용상황 급속 악화는 최근 유동성장세에 따른 금융시장 활황세가 실물경제와 동떨어진 일시적 착시현상임을 보여주는 또하나의 증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임지욱 기자

댓글이 5 개 있습니다.

  • 18 9
    미래예측

    실업자 수는 현재 5백만명 넘었다
    여자들 다 빼고 이런 저런 이유로 다 빼고 그게 실업률이 맞다면 개가 소이지.
    멕시코에서는 2주일에 한 시간만 일하면 실업자가 아니라더구만.
    경제 관료들의 헛짓거리는 악명이야.
    비정규직은 천만명 돌파.

  • 19 8
    크하하

    10년간 신자유 후유증이지
    제조업은 놔두고 부동산 부양만 한.

  • 19 9
    떳따방 사장

    부동산은 폭등이얌 ^^
    아무리 실업자가 늘고, 자살자가 속출해도, 이대하고 이대하쉰 쥐한민국 각카의
    음덕으로 인해 부동산 떳따방은 활성화라고 ㅋㅋㅋ
    강남 종부세 없애자마자 부동산 가격 폭등 ㅋㅋㅋ
    이 얼마나 이대하쉰 갱제전문가이신가? ㅋㅋㅋ
    리-만 브라더스 만쉐이~~~~~~~~~~~~~~~~~
    떳따방 위원회 만쉐이~~~~~~~~~~~~~

  • 14 8
    111

    인턴제 아무리 늘려도 실업률은 늘어..
    인턴제는 비정규직이다...

  • 10 13
    해결사

    실직청년들이 연대해서 경제정책을 바꾸게 하는 수밖에 없다.
    현경제구조상
    최소 5년정도 기다려야
    확장국면 감.
    그때가 돼야 취직자리 열림.
    But 5년 지나면 쳥년인생 쫑남.
    '지금' 연대하여 국가의 경제정책을 바꾸도록 압력해라.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