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운하? 차라리 10만개 마을에 1억씩 투자해라"
김정욱 교수 "4대 강 치수? 모두 대운하와 관계돼 있다"
'한반도대운하 건설을 반대하는 서울대교수모임' 공동대표로 있는 환경대학원 김정욱 교수가 16일 정부가 이명박 대통령 재임기간중 14조원을 투입키로 한 4대강 살리기를 사실상의 편법적 대운하 추진으로 규정하며 맹공을 퍼부었다.
김정욱 교수는 이날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우선 청와대 등이 댐을 만들기 때문에 대운하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데 대해 "(대운하 계획에) 원래 배가 다니게 하기 위해서 지금 댐을 열 몇 개를 만드는 걸 해놨다. 왜냐하면 댐을 만들어야 수심이 되고 댐 사이에는 댐에는 갑문을 만들어가지고 배를 잇겠다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김 교수는 이어 청와대가 갑문 대신 수중보를 만드는 까닭에 대운하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데 대해서도 "갑문이야 나중에 다 만들면 된다"고 일축한 뒤, "내가 이 사업을 보니까 가장 중심이 되는 게 하도정비하고 그 다음에 제방 보강하는 것하고 이런 것들인데 거의 모든 사업들이 다 지금 운하하고 관계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하도정비하면 수심을 깊게 파고 모래를 파 없애는 거고, 그동안 제방은 거의 다 보강했다고 했는데 또 제방 보강한다는 건 운하를 하기는 아주 좋은 것 같고, 갑문도 보면 운하를 만들게 되면 물을 더 많이 빼야되기 때문에 이걸 반드시 해야 되는 것"이라며 "그리고 자전거 도로 만드는 것, 이건 자전거 도로를 왜 강에다 만드나. 사람 다니는 데에다 만들어야지. 이건 이재오씨가 전에 타고 다니면서 자전거 도로를 만들겠다 하는 그 사업하고 똑같은 것이다. 이 모든 게 보니까 엄청난 예산을 들여 가지고 지금 그런 거 하나는 게 아주 준비 작업이라고 딱 보여진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이만한 예산 같으면 우리가 만약 물을 맑게 하는 게 목적이라고 그럴 것 같으면 우리나라 10만 개 마을에다가 한 1억씩만 투자하면 그게 10조가 되지 않나"라고 반문한 뒤, "10만 개 마을에다가 사태를 막고 또 빗물을 지하에 저장하고 공급해주고 그렇게 하는 것이 훨씬 더 좋고, 그런 돈을 마을에다 재생에너지를 공급하고 그런 사업을 하는 것이 훨씬 일자리가 많고 영구적인 일자리가 된다"고 반박했다.
김정욱 교수는 이날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우선 청와대 등이 댐을 만들기 때문에 대운하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데 대해 "(대운하 계획에) 원래 배가 다니게 하기 위해서 지금 댐을 열 몇 개를 만드는 걸 해놨다. 왜냐하면 댐을 만들어야 수심이 되고 댐 사이에는 댐에는 갑문을 만들어가지고 배를 잇겠다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김 교수는 이어 청와대가 갑문 대신 수중보를 만드는 까닭에 대운하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데 대해서도 "갑문이야 나중에 다 만들면 된다"고 일축한 뒤, "내가 이 사업을 보니까 가장 중심이 되는 게 하도정비하고 그 다음에 제방 보강하는 것하고 이런 것들인데 거의 모든 사업들이 다 지금 운하하고 관계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하도정비하면 수심을 깊게 파고 모래를 파 없애는 거고, 그동안 제방은 거의 다 보강했다고 했는데 또 제방 보강한다는 건 운하를 하기는 아주 좋은 것 같고, 갑문도 보면 운하를 만들게 되면 물을 더 많이 빼야되기 때문에 이걸 반드시 해야 되는 것"이라며 "그리고 자전거 도로 만드는 것, 이건 자전거 도로를 왜 강에다 만드나. 사람 다니는 데에다 만들어야지. 이건 이재오씨가 전에 타고 다니면서 자전거 도로를 만들겠다 하는 그 사업하고 똑같은 것이다. 이 모든 게 보니까 엄청난 예산을 들여 가지고 지금 그런 거 하나는 게 아주 준비 작업이라고 딱 보여진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이만한 예산 같으면 우리가 만약 물을 맑게 하는 게 목적이라고 그럴 것 같으면 우리나라 10만 개 마을에다가 한 1억씩만 투자하면 그게 10조가 되지 않나"라고 반문한 뒤, "10만 개 마을에다가 사태를 막고 또 빗물을 지하에 저장하고 공급해주고 그렇게 하는 것이 훨씬 더 좋고, 그런 돈을 마을에다 재생에너지를 공급하고 그런 사업을 하는 것이 훨씬 일자리가 많고 영구적인 일자리가 된다"고 반박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