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대운하 추진되면 문화재 수천점 파괴될 것"

"청계천 석재들, 중랑하수종말처리장에 방치"

이명박 정부가 한반도대운하를 강행할 경우 경부운하, 금강운하, 영산강운하 예정지에서 수천여개에 달하는 문화재가 파괴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피해 예상 문화재만 353개. 8개월 조사는 발굴이 아니라 도굴"

전국 3백65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운하백지화국민행동은 7일 서울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후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반도 운하 건설은 숭례문 화재보다 더 심한 역사문화훼손을 가져올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국민행동이 이날 공개한 문화재청 보고자료에 따르면 현재 한강, 낙동강 예정지인 경부운하 구간에는 지정문화재 72곳, 매장문화재 177곳이 있다.

금강운하 예정지에도 지정문화재 29곳, 매장문화재 40곳이 있으며 영산강운하 예정지에는 지정문화재 17곳, 매장문화재 18곳에 이르러 사업구간에는 총 3백53곳의 문화재가 자리잡고 있다.

피해가 예상되는 주요 문화재만 금강운하 예정지에선 부여 부소산성(사적 5호), 공주 공산성(사적 12호), 공주 석장리구석기유적(사적 334호), 왕흥사지(사적 427호) 등이 있고 영산강운하 예정지에는 선원사 철조여래좌상(보물 422호), 무성서원(사적 166호), 광한루원(사적 303호), 관방제림(천연기념물 368호) 등을 비롯해 1백여개에 달한다.

운하백지화국민행동은 대운하 건설로 인해 파괴되는 주요 문화재만 수천여곳에 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운하백지화국민행동

그러나 국민행동은 문화재청이 집계한 수치조차 유역 뿐 아니라 실제 터미널, 진입로, 관광지개발 등 주변부 개발이 동시에 진행될 경우 파괴되는 문화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청계천 복원 공사 당시 각종 생활유적이 발견된 것을 지적하며 아직 발굴되지 않은 매장 유적들을 발굴도 못하고 파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국민행동은 특히 “일부 언론에서 폭로된 국토해양부의 한반도운하 일정을 보면 지표조사 8개월, 발굴 3개월이라는 일정을 잡아 놓고 있다”며 “이는 문화재 조사 발굴이 아니라 도굴에 다름없는 행위”라고 정부의 계획을 질타했다.

국민행동은 “현재 국내에서 고고학적인 발굴이 가능한 인력은 넓게 잡아 1천9백여명, 실제로는 약 1천여명 정도에 불과하다”며 “도대체 어떤 인력과 예산, 기간으로 한반도 전체의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다 마치겠다는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국민행동은 이어 “역사시대 우리나라의 강은 중요한 교통 및 교역로로 활용됐기 때문에 각종 생활유적 출토가능성이 높아 수중지역에 대해서도 발굴조사를 해야 한다”며 “그러나 아쉽게도 우리나라에는 수중 발굴 인력 및 장비는 전무한 상태다”라고 지적했다.

"숭례문 화재만으로도 가슴 아팠던 국민들 가만 있지 않을 것"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황평우 문화연대 문화유산위원장은 “숭례문이라는 문화재 하나가 불타도 국민들의 가슴이 너무 아팠다”며 “운하건설로 수백, 수천여 개의 문화재가 수장된다면 국민들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고 운하계획 전면 백지화를 촉구했다.

한편 이날 국민행동은 지난 청계천 복원사업 당시 출토된 문화재급 유물인 조선시대 석재들이 당시 이명박 서울시장의 역사문화 복원 약속과 달리 서울 중랑하수종말처리장에 방치된 현장을 사진으로 공개하기도 했다.

국민행동은 “한반도운하가 시작된다면 문화재조사 후 발굴된 유적과 유구들은 청계천 출토 유물처럼 비참한 상황에 빠지게 될 것”이라며 “한반도운하는 난개발의 표상인 청계천 복개와 같은 꼴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서울 중랑하수종말처리장에 방치된 청계천 복개 공사 당시 조선시대 석재들.ⓒ운하백지화국민행동
최병성 기자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