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60% "탈레반사태로 기독교 이미지 나빠져"
59% "국정원장 언론 노출 부적절"
우리 국민의 열명 중 여섯명이 탈레반 인질사태로 기독교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졌다는 여론조사결과가 나와, 인질 사태 및 그후 샘물교회측의 부적절한 대응 등이 기득교에 큰 상처를 안겨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6일 CBS에 따르면,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탈레반 사태로 기독교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졌다고 응답한 사람은 59.7%로 조사됐다. 이전보다 좋아졌다는 응답은 9.7%에 불과했다.
특히 종교별로 천주교(69.2%) 및 불교(68.7%) 응답자들은 기독교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졌다는 응답이 70%에 가까워 이번 사태에 대한 타 종교인들의 부정적 인식이 대폭 증가한 반면, 기독교 응답자는 40.4% 정도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 응답자의 80.7%가 이미지가 나빠졌다고 답해 가장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고, 제주(79.5%), 부산/경남(71.7%), 인천/경기(61.2%)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남/광주 응답자는 39.4%로 가장 적은 편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75.2%로 여성(45.8%)에 비해 기독교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졌다는 응답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30대(65.9%), 50대 이상(62.8%), 40대(54.5%), 20대(52.9%)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인질 석방후 협상을 이끌었던 김만복 국정원장이 언론을 통해 노출된 데 대해선59.3%가 "정보기관의 수장으로서 부적절한 행동"이라고 부정적 평가를 했다. "시대가 바뀐 만큼 괜찮다"는 응답은 23.7%에 그쳤다.
지지정당별로는 대통합민주신당(42.7%<46.8%) 지지층만이 괜찮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이 약간 많았고, 한나라당(68.7%>14.6%), 민주노동당(59.5%>26.8%), 민주당(52.6%>21.4%) 순으로 부적절한 행동이라고 평가하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부적절한 행동이었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은 부산/경남 응답자가 71.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천/경기(67.1%), 대구/경북(58.9%), 서울(54.8%) 순으로 부정적 평가가 많았다.
연령별로는 연령을 불문하고 국정원장의 이번 행동에 대해 부정적 평가가 우세한 가운데, 특히 40대(64.9%)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대(64.8%), 50대 이상(58.8%), 20대(44.2%) 순으로 조사됐다.
이 조사는 4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5백21명을 대상으로 전화로 조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4.3%였다.
6일 CBS에 따르면,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탈레반 사태로 기독교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졌다고 응답한 사람은 59.7%로 조사됐다. 이전보다 좋아졌다는 응답은 9.7%에 불과했다.
특히 종교별로 천주교(69.2%) 및 불교(68.7%) 응답자들은 기독교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졌다는 응답이 70%에 가까워 이번 사태에 대한 타 종교인들의 부정적 인식이 대폭 증가한 반면, 기독교 응답자는 40.4% 정도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 응답자의 80.7%가 이미지가 나빠졌다고 답해 가장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고, 제주(79.5%), 부산/경남(71.7%), 인천/경기(61.2%)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남/광주 응답자는 39.4%로 가장 적은 편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75.2%로 여성(45.8%)에 비해 기독교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졌다는 응답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고, 연령별로는 30대(65.9%), 50대 이상(62.8%), 40대(54.5%), 20대(52.9%) 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인질 석방후 협상을 이끌었던 김만복 국정원장이 언론을 통해 노출된 데 대해선59.3%가 "정보기관의 수장으로서 부적절한 행동"이라고 부정적 평가를 했다. "시대가 바뀐 만큼 괜찮다"는 응답은 23.7%에 그쳤다.
지지정당별로는 대통합민주신당(42.7%<46.8%) 지지층만이 괜찮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이 약간 많았고, 한나라당(68.7%>14.6%), 민주노동당(59.5%>26.8%), 민주당(52.6%>21.4%) 순으로 부적절한 행동이라고 평가하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부적절한 행동이었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은 부산/경남 응답자가 71.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천/경기(67.1%), 대구/경북(58.9%), 서울(54.8%) 순으로 부정적 평가가 많았다.
연령별로는 연령을 불문하고 국정원장의 이번 행동에 대해 부정적 평가가 우세한 가운데, 특히 40대(64.9%)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대(64.8%), 50대 이상(58.8%), 20대(44.2%) 순으로 조사됐다.
이 조사는 4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5백21명을 대상으로 전화로 조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 4.3%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