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뷰] 朴대통령 긍정평가 40.2%, 부정평가 51.3%
74.8% "세월호 특검 찬성", 가장 잘못한 책임자 1위는 '朴대통령'
여론조사기관 <리서치뷰>의 조사결과, 박근혜 대통령 국정지지도는 40.2%, 부정평가는 51.3%로 나타났다.
7일 <리서치뷰>에 따르면 인터넷신문 <뷰앤폴>의 의뢰를 받아 지난 4일 전국 성인 휴대전화가입자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이는 지난달 25일 조사와 비교하면 긍정평가는 ‘39.8% → 40.2%’로 0.4%p, 부정평가도 ‘49.3% → 51.3%’로 2.0%p 각각 상승한 수치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는 ‘잘함(26.4%) vs 잘못함(65.3%)’로 부정평가가 38.9%p, 30대도 ‘잘함(23.3%) vs 잘못함(68.5%)’로 부정평가가 45.2%p, 40대도 ‘잘함(29.3%) vs 잘못함(65.9%)’로 부정평가가 36.6%p나 더 높았다.
반면 50대는 ‘잘함(50.2%) vs 잘못함(40.1%)’로 긍정평가가 10.1%p, 60대에서도 ‘잘함(68.7%) vs 잘못함(19.7%)’로 긍정평가가 49.0%p 더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울(잘함 36.0% vs 잘못함 54.4%), 경기.인천(잘함 35.1% vs 잘못함 55.7%), 충청(잘함 45.1% vs 잘못함 46.8%), 호남(잘함 22.5% vs 잘못함 66.9%)은 부정평가가 더 높았고, 대구.경북(잘함 52.2% vs 잘못함 40.4%), 부산.울산.경남(잘함 53.6% vs 잘못함 40.5%), 강원.제주(잘함 47.6% vs 잘못함 45.2%)는 긍정평가가 더 높았다.
한편 세월호 참사 특검 도입에 대해서는 찬성 의견이 74.8%, 반대 의견은 19.7%로 찬성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세월초 참사에 대한 정부의 인명구조와 사고수습에 대해선 72.0%가 '잘못하고 있다'고 평가했고, 18.3%만이 '잘하고 있다'고 답했다.
세월호 참사에서 가장 책임이 큰 정부당국자를 묻는 질문에도 가장 많은 36.3%의 응답자들이 박 대통령을 지목했다. 이어 해양경찰청장 19.8%, 해양수산부장관 13.7%, 안전행정부장관 8.7%, 국무총리 2.6%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실시간 공개조사시스템을 이용한 임의전화걸기(RDD)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표본은 2014년 4월말 현재 국가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라 비례할당 후 무작위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3.1%p, 응답률 4.0%다.
7일 <리서치뷰>에 따르면 인터넷신문 <뷰앤폴>의 의뢰를 받아 지난 4일 전국 성인 휴대전화가입자 1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
이는 지난달 25일 조사와 비교하면 긍정평가는 ‘39.8% → 40.2%’로 0.4%p, 부정평가도 ‘49.3% → 51.3%’로 2.0%p 각각 상승한 수치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는 ‘잘함(26.4%) vs 잘못함(65.3%)’로 부정평가가 38.9%p, 30대도 ‘잘함(23.3%) vs 잘못함(68.5%)’로 부정평가가 45.2%p, 40대도 ‘잘함(29.3%) vs 잘못함(65.9%)’로 부정평가가 36.6%p나 더 높았다.
반면 50대는 ‘잘함(50.2%) vs 잘못함(40.1%)’로 긍정평가가 10.1%p, 60대에서도 ‘잘함(68.7%) vs 잘못함(19.7%)’로 긍정평가가 49.0%p 더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울(잘함 36.0% vs 잘못함 54.4%), 경기.인천(잘함 35.1% vs 잘못함 55.7%), 충청(잘함 45.1% vs 잘못함 46.8%), 호남(잘함 22.5% vs 잘못함 66.9%)은 부정평가가 더 높았고, 대구.경북(잘함 52.2% vs 잘못함 40.4%), 부산.울산.경남(잘함 53.6% vs 잘못함 40.5%), 강원.제주(잘함 47.6% vs 잘못함 45.2%)는 긍정평가가 더 높았다.
한편 세월호 참사 특검 도입에 대해서는 찬성 의견이 74.8%, 반대 의견은 19.7%로 찬성 의견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세월초 참사에 대한 정부의 인명구조와 사고수습에 대해선 72.0%가 '잘못하고 있다'고 평가했고, 18.3%만이 '잘하고 있다'고 답했다.
세월호 참사에서 가장 책임이 큰 정부당국자를 묻는 질문에도 가장 많은 36.3%의 응답자들이 박 대통령을 지목했다. 이어 해양경찰청장 19.8%, 해양수산부장관 13.7%, 안전행정부장관 8.7%, 국무총리 2.6%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실시간 공개조사시스템을 이용한 임의전화걸기(RDD)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표본은 2014년 4월말 현재 국가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라 비례할당 후 무작위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3.1%p, 응답률 4.0%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