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1만명 집회 "세월호 참사는 朴대통령 책임"
세계노동절대회 개최, 1만명 서울광장까지 추모행진
민주노총은 이날 노동절대회를 대정부 요구안을 부각시켰던 예전 기조와 달리 세월호 참사에 대한 '애도와 분노'의 기조로 차분히 치렀다.
민주노총은 집회 슬로건을 '침몰하는 대한민국, 박근혜가 책임져라', '누구를 위한 국가인가, 더 이상 죽이지 마라'로 정했고 조합원들은 모두 검정-노랑 리본을 패용했다.
신승철 위원장은 대회사에서 "깊은 바다 속 추위와 어둠, 다가오는 죽음에 맞서 할 수 있는 일이라곤 서로의 구명조끼 끈을 묶는 것이 전부였던 열일곱 살 아이들은 주검이 돼 돌아왔다"며 "봄의 길목에서 마주한 이 허망한 비극에 비하면, 차라리 지난 겨울은 못 견디게 따뜻했다"며 세월호 희생자들을 추도했다.
신 위원장은 이어 "이것은 사고 뒤 만 하루가 지나서야 범정부 사고대책본부가 구성되고, 객실에 진입하기까지 닷새가 걸린, 허술한 재난대응 체계가 몰고 온 학살"이라며 "인을 위해 안전과 책임의식도 내팽개치는 자본의 탐욕이 부른 학살"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퇴직한 해수부 관료가 해운조합 간부가 되고 사고를 낸 해운업체와 계약을 맺은 구조업체의 이익을 위해 정작 필요한 구조는 지체됐다"며 "가해자와 조력자, 수익자가 회전문처럼 돌아 등장하며 국민 목숨을 현금으로 바꾸고 있다. 정권과 자본이 죽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성수대교 붕괴, 삼풍백화점 붕괴, 씨랜드 참사, 대구지하철 참사, 그리고 얼마 전 경주리조트 참사까지 무려 20년이 흘렀지만 이윤을 위해 희생된 죽음은 그칠 줄을 모른다"며 "시민 안전을 내팽개친 채 가진 자의 배를 더욱 불리기 위한 민영화가 강행되는 한 우리 안전은 요원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민영화를 막지 못하면, 바다에서 벌어진 참사가 철로 위에서, 병원에서, 학교에서 재현되는 것은 어쩌면 시간문제"라며 "국민의 목숨보다 자신의 권력을 소중히 여기는 대통령이 있는 한 참사는 반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이 책임져야 한다. 억울하게 죽은 금쪽같은 아이들의 목숨을 조금이라도 위로할 수 있다면 노동자가 나서자"며 "규제를 풀고 위법을 눈감아준 권력, 비용절감과 생산성을 위해 인명을 내던진 자본에 의해 저질러진 사회적 살인행위를 멈춰야 한다"고 호소했다.
대회 참가자들은 2시간여 집회를 마무리짓고 서울역에서 서울시 합동분향소가 설치된 서울광장까지 추모행진에 나섰다. 행진 초기 장애인인권단체 회원들과 경찰의 충돌이 벌어지며 전동휠체어에 타고 있던 장애인들이 다치면서 한동안 행진이 지체되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