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철도노조 "탄압 계속되면 25일 경고파업"

"교섭 해태, 일방적 구조조정 추진 당장 중단해야"

철도노조가 코레일측의 교섭 해태, 일방적인 구조조정 추진에 반발하며 오는 25일 시한부 경고파업을 예고했다.

철도노조는 19일 오후 서울역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회적 합의 정신마저 외면한 탄압 행태를 중단하고 철도공사 사장이 직접 본교섭에 나와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며 "24일까지 철도공사가 계속 교섭을 해태하고 탄압으로 일관하면서 일방적 구조조정을 추진한다면 철도노조는 2월 25일 시한부 경고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철도노조는 파업 중단 이후 상황에 대해 "현장 복귀 이후 남은 과제를 사회적 합의 정신에 맞게 노사간, 노정간 교섭을 통해 건설적인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했다"며 "그러나 사회적 비판여론에 불구하고 523명에 대한 중징계 진행, 198명 간부에 대한 기소, 152억에 달하는 손해배상과 10억의 위자료 청구, 116억에 달하는 가압류 집행 등 노동조합의 손과 발을 묶는 것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철도노조는 "급기야 조합원 강제전보까지 계획 추진하려 하고 있다"며 "인력 불균형 해소라는 명목을 내세우고 있지만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타 지역과 직종으로 강제전보를 추진하겠다는 것은 노동조합을 무력화시키고 현장 통제를 극대화하겠다는 발상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철도노조는 또 "철도의 최대 가치인 안전마저 위협하고 노동조건을 악화시키는 1인 승무 등 구조조정이 일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철도 시설의 건설과 유지보수의 이원화에 따른 잘못된 정책 시행에 대한 면밀한 검토나 대책 마련없이 1인 승무를 통한 인력 줄이기라는 성과를 위해 철도 안전마저 위협하고 있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철도노조는 파업 해제와 동시에 구성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철도산업발전소위의 지지부진한 활동에 대해서도 "국토부의 ‘철도산업 발전방안’에 대한 검증과 민영화 방지대책을 위한 실질적인 논의는 전혀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논의는 지지부진하고 정부·여당은 시간만 끌고 있다"고 비난했다.

실제로 국회 철도산업발전소위는 지난해 12월 31일 첫 회의를 열고 이후 3차례 더 회의를 가졌지만 지난 2월 7일에야 여야 추천인사 4명씩 8명으로 구성하는 정책자문협의체 구성을 의결했다. 활동시한이 3월 말이면 마무리되지만 철도민영화 방지법, 철도노조 징계 및 손배소 문제 등 현안에 대해선 아무런 논의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최병성 기자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1 1
    박쥐

    노조 백명이 분신해라. 김정은이 열사능에 묻어줄겨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