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 "31일 오전 11시 현장 복귀"
민주노총 "철도노조 내부 결정 존중"
김명환 철도노조 위원장은 30일 오후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 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총파업 투쟁을 현장투쟁으로 전환하고 31일 오전9시부터 지구별로 파업투쟁 보고 및 현장투쟁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오전11시까지 현장으로 복귀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철도분할과 민영화저지 투쟁은 끝나지 않았으며, 향후에도 지속한다"며 "오늘 저녁 지부별로 당면한 징계 및 현장탄압 분쇄, 민주노조 사수를 위한 투쟁계획을 공유하고 힘찬 투쟁을 결의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파업투쟁의 성과에 대해선 "철도를 비롯한 우리사회의 공공재를 민영화해서는 안된다는 전 국민적 합의가 이루어진 것이고,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수립과 진행이라는 후진적인 관행을 타파하고 공공정책 수립에 있어 '사회적 대화와 합의를 우선시하는 새로운 전기가 마련된 것"이라고 자평했다.
그는 또 "정부와 철도공사의 억지 불법공세와 참가 조합원 전원 직위해제, 고소고발과 체포영장 발부, 77억 손해배상 청구와 116억 가압류 청구, 490여 명에 대한 중징계 회부, 대체인력 신규채용, 직권면직 입법 추진 등 상상을 초월하는 압박과 탄압에도 불구하고 철도노동자가 굴하지 않고 전진할 수 있었던 것은 오직 국민여러분의 뜨거운 지지와 성원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이 자리를 빌어 2만 1천 조합원과 10만 철도가족을 대신하여 국민여러분께 진심어린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이에 대해 "철도노조가 내부 절차를 거쳐 결정한 현장복귀 방침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그러나 "국회 철도발전소위 논의가 수서발KTX를 포함한 철도분할민영화 저지와 철도 공공성 강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중단 없는 투쟁을 전개하겠다"며 다음달 9일과 16일 총파업 강행 입장을 밝혔다.
민주노총은 정부와 코레일을 향해 "합법적인 철도노조 총파업에 대한 파면, 해고 등 대량 징계, 천문한적인 손배 청구, 민형사상 탄압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하며 "철도노조 탄압중단을 위한 강력한 투쟁을 시민사회 및 국제노동계와 연대해 함께 전개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