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법원, 삼성전자 백혈병 사망자에 산재 인정

"발병 경로 밝혀지지 않았더라도 추단 가능"

삼성전자의 반도체 생산공장에서 일하다가 백혈병으로 숨진 피해자에게 법원이 산업재해를 인정했다.

법원은 지난 2011년 고(故) 황유미씨 등 삼성전자 근로자 2명에 대해서도 백혈병과 반도체 제조공정 사이의 인과관계를 인정하는 판결을 내린 바 있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부(이승택 부장판사)는 18일 2009년 숨진 김경미(당시 29세)씨의 유족이 "유족급여와 장의비를 지급하라"며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재판부는 "백혈병의 발병 경로가 의학적으로 명백히 밝혀지지 않았더라도 삼성전자 기흥사업장에 근무하는 동안 발암물질을 포함한 유해화학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돼 백혈병이 발생했다고 추단할 수 있다"고 판시했다.

재판부는 "김씨가 화학물질이 담긴 수조에 웨이퍼(반도체 집적회로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얇은 원판)를 담갔다가 꺼내는 작업을 반복했다"며 "충분한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은 점 등으로 미뤄 삼성전자의 작업환경 측정결과보다 많은 양의 유해화학물질에 노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김씨에게 가족력이 없고 발병 당시 젊은 나이였던 점, 삼성전자가 첫 직장이었던 점도 근거로 삼았다.

삼성전자 백혈병 피해자들의 발병 경로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는 데는 삼성전자의 책임도 있다고 재판부는 지적했다.

재판부는 "발암의심물질에의 노출 여부와 정도를 더 이상 규명할 수 없게 된 것은 근무 당시 사용된 화학물질 자료를 보존하지 않거나 영업비밀이라는 이유로 공개하지 않는 삼성전자에도 원인이 있다"고 꼬집었다.

김씨는 19살 때인 1999년 삼성전자에 입사해 기흥공장 2라인에서 생산직 근로자로 5년 동안 일했다. 퇴사한 지 4년 만인 2008년 급성 골수성 백혈병 진단을 받고 이듬해 11월 숨졌다. 직접 사인은 백혈병으로 인한 패혈증이었다.

김씨가 일한 2라인은 기흥단지에서 가장 오래된 생산라인 가운데 하나로 현재는 폐쇄됐다. 이곳에서 사용된 화학물질에는 벤젠과 포름알데히드 등 백혈병을 유발하는 인자가 포함됐거나 공정에서 만들어질 개연성이 크다는 지적을 받았다.
연합뉴스

댓글이 4 개 있습니다.

  • 3 0
    대갈통은써근쥐쉐기들

    삼권분립 국가에서 사법부 두목등 대갈통들은 써거 나자빠져도 실무진 판/검사들이 제대로 살아있으면 그래도 그나라는 일말의 희망이~~~!!!

  • 5 0
    망하던

    부도덕한 기업
    더 이상 국민들 속지 말아야

  • 5 0
    촌부

    삼성근로자는 100% 산재대상이다 전부 퇴사해서 나오라 망해버리라고 올바른 회사가 되야지
    시골 촌노 만도 못한기업이 삼성이다

  • 5 0
    산재보

    산업근로복지 공단은 삼성 거지같은 그룹에서 희생된 근로자 전부 산재 인정해라 승닝해라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