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의료원 퇴직자 대부분 실업자로 전락"
김경협 "퇴직자 80.7% 미취업, 근로기준법 위반도"
진주의료원 퇴직자들의 대부분이 실업자 신세인 것으로 밝혀졌다.
2일 김경협 민주당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까지 진주고용센터에 구직등록한 진주의료원 퇴직자는 퇴직자 240명 가운데 166명(5월 31일 기준)으로, 이중 32명(19.3%)만 재취업했고 나머지 134명(80.7%)은 미취업 상태다.
특히 간호사(74명/89.2%), 사무직(14명/63.7%), 기능직(25명/96%), 보건직(15명/93.7%)의 실업상태가 심각한 반면, 의사는 17명중 11명(65%)는 이미 취업해 대조를 이뤘다.
문제는 이들의 재취업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 진주고용센터에 등록된 진주지역 보건.의료업종 유효구인 현황을 보면 이들이 취업할 수 있는 일자리는 간호사 10개, 간호조무사 9개, 기타 6개로 최대 25개에 불과했다.
김 의원은 "진주의료원 해산조례가 공포됨에 따라 정리해고 70명이 추가로 구직등록 하게 되면 지역고용상황은 더욱 열악해 지고 실직의 고통은 장기간 진행될 것"이라며 "홍준표 지사는 진주의료원 폐업에 따른 대량실직에 아무런 대책도 세우진 않은 것으로 확인된 셈"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또 "진주의료원이 정리해고 계획서(근로기준법) 및 대량고용변동신고서(고용정책기본법)를 고용노동부에 제출하지 않은 것도 확인했다"며 "해당 법령에서는 직원의 10%이상을 정리해고하거나 대량퇴직이 발생하는 경우 반드시 이를 고용노동부에 신고하도록 의무화 하고 있으나 진주의료원이 법적 의무사항을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2일 김경협 민주당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까지 진주고용센터에 구직등록한 진주의료원 퇴직자는 퇴직자 240명 가운데 166명(5월 31일 기준)으로, 이중 32명(19.3%)만 재취업했고 나머지 134명(80.7%)은 미취업 상태다.
특히 간호사(74명/89.2%), 사무직(14명/63.7%), 기능직(25명/96%), 보건직(15명/93.7%)의 실업상태가 심각한 반면, 의사는 17명중 11명(65%)는 이미 취업해 대조를 이뤘다.
문제는 이들의 재취업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 진주고용센터에 등록된 진주지역 보건.의료업종 유효구인 현황을 보면 이들이 취업할 수 있는 일자리는 간호사 10개, 간호조무사 9개, 기타 6개로 최대 25개에 불과했다.
김 의원은 "진주의료원 해산조례가 공포됨에 따라 정리해고 70명이 추가로 구직등록 하게 되면 지역고용상황은 더욱 열악해 지고 실직의 고통은 장기간 진행될 것"이라며 "홍준표 지사는 진주의료원 폐업에 따른 대량실직에 아무런 대책도 세우진 않은 것으로 확인된 셈"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또 "진주의료원이 정리해고 계획서(근로기준법) 및 대량고용변동신고서(고용정책기본법)를 고용노동부에 제출하지 않은 것도 확인했다"며 "해당 법령에서는 직원의 10%이상을 정리해고하거나 대량퇴직이 발생하는 경우 반드시 이를 고용노동부에 신고하도록 의무화 하고 있으나 진주의료원이 법적 의무사항을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