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지수 3,000 붕괴. '중국발 패닉' 확산
중국 과잉투자 해소가 관건, G7 공조도 물 건너가
특히 이번에는 7년전 '미국발 세계금융위기' 때와는 달리 선진국간 공조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어 글로벌 주가폭락 사태가 장기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전날보다 7.63%(244.94포인트) 폭락한 2,964.97로 마감했다. 전날 8.29% 폭락에 이어 이틀새 16.1%나 폭락한 것.
상하이지수는 전날보다 6.4% 하락한 3,004.13으로 출발해 상승세를 타다 오후부터 낙폭이 확대되며 3,000선이 무너졌다. 장중에는 8.16%나 폭락했다.
상하이지수가 3,000선 아래로 내려간 것은 지난해 12월 이후 8개월 만에 처음이며, 상하이지수는 지난 6월의 고점 대비 반토막이 났다.
선전 성분지수도 7.04% 하락한 10,197.94로 장을 마쳤다.
중국 인민은행은 외국인 자금 대거 이탈로 증시가 연일 패닉상태에 빠지자 이날 7일 만기 역환매조건부채권(RP) 거래를 통해 시중에 1천500억위안(27조6천390억원)의 유동성을 공급했으나 백약이 무효였다.
시장에서는 대폭적 금리인하 등 적극적 부양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중국정부를 비난하고 있으나, 문제는 현재 중국경제가 직면한 어려움이 이같은 미봉책으로 해결될 수 있는 간단한 성질의 것이 아니라는 데 있다.
<로이터 통신>은 "리먼 쇼크가 발생한 지 7년이 흘렀다. 리먼 쇼크 직후 중국정부가 취한 4조위안 규모의 경기대책은 당시 세계경제를 떠받치는 데 성공했으나 지금 세계에서 가장 먼저 중국경게가 쇼크를 받는 원동력이 되었다"면서 "과잉설비 난립을 초래하면서 최근 중국경제를 고통스럽게 만드는 재고 급증의 근원인 경기침체의 근본적 원인이 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로이터>는 "이 공급 측면의 과잉에 메스를 들이대야만 하나, 이 정책을 추진하면 과잉 설비투자에 돈을 대준 자본의 부실화가 표면화돼 중국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이 급증하면서 금융시스템 자체가 불안해질 수밖에 없다"며 "중국정부가 이 고통을 피하기 위해 수요 측면만 조정하는 정책을 되풀이하면 중국경제의 조기 재건과 주가하락 방지를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로이터>는 더 나아가 "또한 G7의 협조도 기대하기 어렵다"면서 미국은 금리인상, 일본-유럽은 금리인하 정책을 추진하는 등 선진국 공조가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지적한 뒤, "세게 2위 경제대국 중국을 둘러싼 협조체제가 완성되기까지 세계경제는 여러 차례 커다란 쇼크에 직면하면서 큰 비용을 지불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