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부산파, 차기총선 지지기반 다지기 돌입?
최인호 비서관 사의, 정윤재-송인배도 조만간 정치복귀
노무현 대통령을 만든 '부산사단'의 막내격인 최인호(40) 청와대 국내언론비서관이 17일 노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다. 최 비서관은 연말 인수인계 절차를 거쳐 사표가 수리되는 대로 내년 1월께 열린우리당에 복당한 뒤 2월 경 치러지는 정기전당대회 때 부산시당위원장 경선에 출마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 비서관과 함께 청와대 내 부산대 총학생장 출신 3인방으로 불리는 정윤재 의전비서관과 송인배 시민사회수석실 행정관도 내년 상반기 대선국면이 본격화되는 시점에 거취문제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져, 청와대가 '영남 독자세력화' 구축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노대통령이 '조기 하야'를 무기로 추진중인 중-대선거구제가 도입될 경우에 대비해 이들 노대통령 측근들이 차기 총선을 겨냥해 지역구 기반 다지기에 나선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이들 3인방은 '전국정당 실현'을 기치로 지난 4.15 17대 총선에 각각 부산 해운대 기장갑, 부산 사상, 경남 양산에 나란히 출마했다 낙선한 바 있다.
최 비서관은 이날 자신의 거취와 관련 "당분간 백의종군하며서 부산지역 현안을 챙기는 한편 참여정부 공과에 대해 당원들과 심도있는 토론을 통해 의견을 듣고 심사숙고할 것"이라고 말해, 노무현 대통령을 포함한 친노진영이 구상하고 있는 '영남후보론' 확산을 위해 행보를 시작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에 무게를 더했다.
여권 핵심 관계자들이 대선 전략으로 거론하고 있는 영남후보론은 한나라당 지역 기반인 영남에서 표를 획득할 수 있는 후보를 내세워야 표대결에서 가망이 있다는 논리. 정권창출에 성공한 1997년, 2002년 대선과 달리 충청기반이 무너진 상황에서 호남표에 기대어 선기를 치르는 것은 필패라는 것이다. 범여권 내에서 차기 대선 후보와 관련 김혁규 전 최고위원, 김두관 전 최고위원, 유시민 복지부 장관, 진대제 전 정통부 장관, 이수성 전 국무총리 등이 거론되는 것도 그 때문이다.
한편 후임 국내언론비서관으로는 홍보수석실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언론관련 산하기관장과 청와대 비서실 내 고참 행정관 등 2~3배수 후보가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최 비서관과 함께 청와대 내 부산대 총학생장 출신 3인방으로 불리는 정윤재 의전비서관과 송인배 시민사회수석실 행정관도 내년 상반기 대선국면이 본격화되는 시점에 거취문제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져, 청와대가 '영남 독자세력화' 구축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노대통령이 '조기 하야'를 무기로 추진중인 중-대선거구제가 도입될 경우에 대비해 이들 노대통령 측근들이 차기 총선을 겨냥해 지역구 기반 다지기에 나선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이들 3인방은 '전국정당 실현'을 기치로 지난 4.15 17대 총선에 각각 부산 해운대 기장갑, 부산 사상, 경남 양산에 나란히 출마했다 낙선한 바 있다.
최 비서관은 이날 자신의 거취와 관련 "당분간 백의종군하며서 부산지역 현안을 챙기는 한편 참여정부 공과에 대해 당원들과 심도있는 토론을 통해 의견을 듣고 심사숙고할 것"이라고 말해, 노무현 대통령을 포함한 친노진영이 구상하고 있는 '영남후보론' 확산을 위해 행보를 시작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에 무게를 더했다.
여권 핵심 관계자들이 대선 전략으로 거론하고 있는 영남후보론은 한나라당 지역 기반인 영남에서 표를 획득할 수 있는 후보를 내세워야 표대결에서 가망이 있다는 논리. 정권창출에 성공한 1997년, 2002년 대선과 달리 충청기반이 무너진 상황에서 호남표에 기대어 선기를 치르는 것은 필패라는 것이다. 범여권 내에서 차기 대선 후보와 관련 김혁규 전 최고위원, 김두관 전 최고위원, 유시민 복지부 장관, 진대제 전 정통부 장관, 이수성 전 국무총리 등이 거론되는 것도 그 때문이다.
한편 후임 국내언론비서관으로는 홍보수석실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언론관련 산하기관장과 청와대 비서실 내 고참 행정관 등 2~3배수 후보가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