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MB에게 '사의 서한' 제출후 잠적
MB, 박형준-곽승준 보내 사퇴 만류
22일 <조선일보>에 따르면, 여권 관계자는 "정 전 총리는 서한에서 자신이 초과이익공유제를 제기하게 된 배경과 논란이 일게 된 경위 등을 대통령에게 설명하고 위원장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정 전 총리는 서한에서 "일부 대기업이 수조원의 초과이익을 내는 데는 정부의 고환율 정책과 협력업체의 기여도 있는 만큼 대기업도 자발적으로 중소 협력업체를 키우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데도 일부 정부 인사가 이익공유제의 취지를 이해하려 노력하기는커녕 부정적 의견을 공공연히 피력하고 있어 안타깝다"며 "이래서는 국민들이 이 정부를 '자신들이 아닌 그들(대기업)을 위해 일하는 정부'라 여길 수밖에 없다. 대통령께서 동반성장의 가치를 지켜달라"고 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 전 총리는 서한을 전한 뒤 측근들과 연락을 끊고 거취 고민에 들어갔다. 정 전 총리의 한 측근은 "정 전 총리가 퇴근하면서 며칠간 연락이 안 될 것이라고 했다"고 전했다. 정 전 총리는 앞서 기자들에게 "거취가 결정되는 대로 입장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박형준 대통령 특보와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 등이 정 전 총리를 접촉해 사퇴를 만류했고, 대통령의 메신저 역할을 맡은 다른 여권 인사도 정 전 총리를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곽 위원장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정 전 총리가 제안한 초과이익공유제를 그대로 실행하기는 어렵지만 동반성장의 취지가 훼손돼선 안 되며, 삼성이 정 전 총리를 비판한 것은 아주 잘못된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도 "이명박 대통령의 뜻은 정 위원장이 동반성장을 책임지고 이끌어 달라는 것"이라고 했다. 정 전 총리에 대해 사실상 재신임 의사를 밝힌 것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주말 "정 위원장이 일 잘할 수 있도록 해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