셔크 前동아태 차관보 방북, 美국무부 허용
북미 직접대화 본격화, 18~23일 평양 체류
천안함 사태후 미국 인사의 방북을 막아온 미 국무부가 수전 셔크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의 방북을 허용, 북미 직접대화가 본격화하기 시작한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8일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UC샌디에이고)의 수전 셔크 국제분쟁협력연구소(IGCC) 소장과 그 일행이 평양에 도착했다고 전했다.
셔크 소장은 클린턴 행정부 당시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를 지냈으며, 지난해 10월 샌디에이고에서 북한 외무성의 리근 미국 국장과 미국의 성 김 6자회담 특사 등 6자회담 참가국 관리들이 참석하는 '동북아협력대화'를 주재한 바 있다.
앞서 <미국의 소리'(VOA)> 방송은 이날 셔크 소장을 비롯한 미국의 대북전문가들이 18∼23일 방북해 양국간 민간 차원의 교류문제 등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방송에 따르면, "방문단에는 미국의 민간 북한연구단체인 전미북한위원회(NCNK)의 캐린 리 사무국장도 포함됐다.
방송은 "천안함 사건 이후 일부 미국 전문가들이 북한의 초청으로 방북을 시도했지만 국무부의 만류로 연기한 바 있다"면서 "최근 미국 정부의 대북 수해 지원에 이어 전문가들의 방북이 이뤄지면서 앞으로 북미간 대화 재개 등 정치 상황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고 덧붙였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8일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UC샌디에이고)의 수전 셔크 국제분쟁협력연구소(IGCC) 소장과 그 일행이 평양에 도착했다고 전했다.
셔크 소장은 클린턴 행정부 당시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를 지냈으며, 지난해 10월 샌디에이고에서 북한 외무성의 리근 미국 국장과 미국의 성 김 6자회담 특사 등 6자회담 참가국 관리들이 참석하는 '동북아협력대화'를 주재한 바 있다.
앞서 <미국의 소리'(VOA)> 방송은 이날 셔크 소장을 비롯한 미국의 대북전문가들이 18∼23일 방북해 양국간 민간 차원의 교류문제 등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방송에 따르면, "방문단에는 미국의 민간 북한연구단체인 전미북한위원회(NCNK)의 캐린 리 사무국장도 포함됐다.
방송은 "천안함 사건 이후 일부 미국 전문가들이 북한의 초청으로 방북을 시도했지만 국무부의 만류로 연기한 바 있다"면서 "최근 미국 정부의 대북 수해 지원에 이어 전문가들의 방북이 이뤄지면서 앞으로 북미간 대화 재개 등 정치 상황에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